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장건축물 화재확산 지연을 위한 수막설비 효과성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Water Curtain Systems in Delaying the Spread of Fire in Factory Buildings
발행기관
한국화재소방학회
저자명
권진석(Jin-Suk Kwon) 김태선(Tae-Sun Kim) 박태희(Tae-Hee Park) 김태동(Tae-Dong Kim) 양지현(Ji-Hyun Yang) 권영진(Yeong-jin Kwon)
간행물 정보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9 No.4, 23~31쪽, 전체 9쪽
주제분류
공학 > 공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내에 축조된 공장건축물은 건축물간 이격거리가 협소하여 화재가 발생하면 인접건축물로 화재 확산에 취약한 점이 있다. 또한, 공장건축물의 경우 시공이 용이한 가설자재를 사용하여 화재 확산으로 큰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발생한다. 화재가 발생한 공장건축물의 화재 진압을 위해 소방대원이 출동하게 되면 화점이 있는 건축물에 집중 방수를 하지만, 인접 건축물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해 방어주수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장건축물 외벽에 설치된 수막설비로 화재 시 소방에서 수행하는 방어주수를 대신할 수 있는지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동일한 조건의 공장화재를 모사한 환경에서 수막설비의 노즐 종류별, 이격거리별 공장건축물 외벽의 샌드위치패널에 미치는 복사열과 샌드위치 심부 온도를 측정하여 효과적인 노즐을 도출하였다. 실험 결과, 노즐마다 차이는 있지만 24.83 kW/㎡∼33.09 kW/m2의 복사열 감소와 약 2.2 ℃∼13 ℃의 패널 심부온도가 감소하였다. 그 중 물분무노즐 B는 기존 드렌처 노즐보다 약 1/4의 물을 사용하여 현장활용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본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추가 연구를 통해 수막설비에 가장 적합한 노즐을 개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Domestically constructed factory buildings have narrow spacing between structures, which makes them vulnerable to fires spreading to adjacent buildings. Additionally, these buildings often use temporary construction materials that are easy to install, leading to significant loss of life and property damage during fire spreading. When responding to a fire in a factory building, firefighters focus on extinguishing the fire at its source while implementing defensive water- supply measures to prevent its spread to adjacent buildings.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a water-barrier system installed on the exterior walls of factory buildings as a replacement for firefighters’ defensive water-supply systems in the event of a fire. Under conditions simulating a factory fire, the radiant heat and core temperatures of sandwich panels on the exterior walls of factory buildings were measured while varying the nozzle types and separation distances of the water curtain system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ed that despit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nozzle, the radiant heat decreased from 24.83 kW/m2 to 33.09 kW/m2, and the core temperature of the panels decreased from approximately 2.2 °C to 13 °C. Among these, nozzle B, which used approximately one-fourth of the water compared with the existing drencher nozzle,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on-site ap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further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develop the most suitable nozzle for water-film systems.

목차

1. 서 론
2. 국내·외 수막설비의 연구 동향
3. 공장화재 모사 실험의 구성
4. 수막설비 종류별 실험결과
5. 결론 및 고찰
후 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진석(Jin-Suk Kwon),김태선(Tae-Sun Kim),박태희(Tae-Hee Park),김태동(Tae-Dong Kim),양지현(Ji-Hyun Yang),권영진(Yeong-jin Kwon). (2025).공장건축물 화재확산 지연을 위한 수막설비 효과성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39 (4), 23-31

MLA

권진석(Jin-Suk Kwon),김태선(Tae-Sun Kim),박태희(Tae-Hee Park),김태동(Tae-Dong Kim),양지현(Ji-Hyun Yang),권영진(Yeong-jin Kwon). "공장건축물 화재확산 지연을 위한 수막설비 효과성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39.4(2025): 23-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