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Étude des Liaisons dangereuses de Charles Brabant : Transposition en ‘film épistolaire’ et vision documentaire du réalisateur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저자명
- 이윤수(Yunsoo LEE)
- 간행물 정보
- 『프랑스학연구』제108권, 159~203쪽, 전체 4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8,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샤를 브라방 감독이 연출한 1980년 프랑스 텔레비전 영화 <위험한 관계>를 중심으로, 원작 서간체 소설의 구조와 시대적 함의를 최대한 보존하면서 시청각 매체로 옮기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형식과 내용상의 재구성을 분석한다. 원작 쇼데를로 드 라클로의 『위험한 관계』(1782)는 전면적으로 서간체 형식을 채택하며, 다중 화자 시점과 비연속적 시간 구조를 통해 18세기 프랑스 귀족 사회의 위선과 권력 관계를 내면화된 목소리로 드러낸다. 브라방은 이러한 구조적 복잡성과 원작이 위치한 전혁명기의 사회적 맥락과 더불어 라클로의 생애가 펼쳐진 혁명기의 역사적 배경을 함께 반영하면서, 화면 밖 음성, 교차 편집 등의 매체 특유의 전략을 활용해 주관성의 강화와 내면의 시각화와 같은 원작의 서간체적 특성을 영상적으로 구현하고, 편지 문장의 재배치·병합 등을 통해 편지 기반의 대사를 구성한다. 다른 한편, 라클로의 등장 장치를 통해 작가와 소설 속 인물, 역사적 사실과 영상 속 허구적 현실이 교차하며, 해석과 재현의 경계에서 역사와 문학의 긴장 관계가 형성된다. 나아가 브라방의 다큐멘터리적 연출 철학은 이 작품을 작가적 성찰과 시대 비평의 장으로 확장시킨다. 본 논문은 이러한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텔레비전 매체를 통한 문학 재맥락화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영문 초록
Cet article analyse le téléfilm français “Les Liaisons dangereuses” (1980) de Charles Brabant, montrant la préservation de la structure épistolaire et de la portée socio-historique du roman (1782) de Laclos, tout en opérant, dans le passage à l’audiovisuel, des réorganisations formelles et thématiques. L’œuvre de Laclos, écrite à la veille de la Révolution, adopte exclusivement la forme épistolaire et dévoile l’hypocrisie et les rapports de pouvoir de l’aristocratie du XVIIIe siècle. Brabant respecte cette complexité et le contexte pré-révolutionnaire, tout en intégrant, à travers le personnage de Laclos, l’arrière-plan historique. Le cinéaste recourt à des procédés télévisuels pour renforcer la subjectivité, visualiser l’intériorité et construire des dialogues issus des lettres. L’intégration de l’auteur dans la diégèse fait se croiser écrivain et personnages, réalité et fiction, créant une tension entre histoire et littérature, interprétation et représentation. La démarche documentaire de Brabant transforme ainsi l’adaptation en espace de réflexion sur l’auctorialité et de critique historique.
목차
1. 들어가는 글
2. 다큐멘터리 시선이 담긴 영화 만들기
3. 서간체 소설에서 텔레비전 영화로의 변용 양상
4. 나가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크 타티 코미디의 단초로서의 <윌로 씨의 휴가> 고찰
- 샤를 브라방의 <위험한 관계> : ‘서간체 영화’ 만들기 방식과 감독의 다큐멘터리적 시선 연구
- 책의 즐거움 : 조르주 페렉의 책에 대한 물질적 관심
- 프랑스어권 언어 및 문화 능력 함양을 위한 프랑스어권 서아프리카와 한국 속담의 어휘문화에 대한 상호문화적 연구 - 동물, 음식, 사물 관련 속담을 중심으로
- 담화 기원(instance du discours)의 불확실성에 대한 연구 : 에밀 벤브니스트Émile Benveniste와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의 이론을 중심으로
- 프로이트의 유머론과 블랙 유머의 차별적 의미
- 미셸 우엘벡의 초기 시에 나타난 보들레르의 영향 : 『살아있기』와 『행복의 추구』
- 몰리에르의 한국무대에서의 수용 : 1936-2022
- 프랑스학연구 제108권 목차
- [특별기고] 동물을 향한 시인의 연민 -보들레르(「백조」)와 위고(「두꺼비」)의 경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BEST
- ‘진정한’ 문학이란 무엇인가 - 조르주 바타유의 「르네 샤르에게 보내는 서한 : 작가의 모순들에 관하여」 읽기
- 인공지능 AIVA와 프랑스의 AI 저작권 문제
-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과 창의성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NEW
- 자크 타티 코미디의 단초로서의 <윌로 씨의 휴가> 고찰
- 샤를 브라방의 <위험한 관계> : ‘서간체 영화’ 만들기 방식과 감독의 다큐멘터리적 시선 연구
- 책의 즐거움 : 조르주 페렉의 책에 대한 물질적 관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