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담화 기원(instance du discours)의 불확실성에 대한 연구 : 에밀 벤브니스트Émile Benveniste와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Etude sur l’incertitude de l’instance du discours - autour des théories d’Émile Benveniste et de Roland Barthes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저자명
- 김휘택(Huiteak KIM)
- 간행물 정보
- 『프랑스학연구』제108권, 35~6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에밀 벤브니스트의 언어학과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을 ‘담화 기원’이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비교 고찰한다. 벤브니스트는 언어행위를 단순한 소통 수단이 아닌 주체성 구성의 계기로 보았으며, ‘나’라는 인칭 주어의 발화행위를 통해 주체가 자신의 위치를 점유한다고 본다. 반면 바르트는 기호학의 관점에서 발화 주체가 이미 익명성과 반복성에 포섭되어 있으며, 언어행위는 자율적 표현이 아닌 역사와 이데올로기적 맥락 속에서 작동하는 재현의 체계라고 본다. 이런 관점 차이는 언어학과 기호학의 학문적 구분을 넘어, 주체 개념의 불확실성과 담화 기원에 내재한 존재론적 불안을 드러낸다. 특히 글쓰기는 이러한 담화 구조를 반영하는 언어행위로, 주체는 이 행위 속에서 실현되면서도 끊임없이 소외된다. 바르트는 글쓰기를 ‘단단해진 언어행위’로 규정하고, 작가는 타인의 목소리와 과거 발화행위의 유산에 얽매여 자율성을 확보할 수 없다고 본다. 담화 기원은 더는 주체의 탄생 지점이 아니라, 누군가의 목소리가 의미를 생성하지만, 그 정확한 기원을 포착할 수 없는 위치이며, 발화자가 말하는 지점은 항상 타인의 목소리로 가득 찬 공간이다. 이 지점에서 벤브니스트와 바르트의 교차는 단순한 이론 비교를 넘어, 현대 담화 이론의 핵심 문제를 제기하며, 근대 주체 개념의 이상성과 한계를 성찰할 이론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Cet article compare la linguistique d’Émile Benveniste et la sémiologie de Roland Barthes à travers la question de l’instance du discours. Pour Benveniste, l’acte de langage n’est pas un simple moyen de communication, mais le fondement de la subjectivité: c’est à travers l’énonciation du pronom “je” que le sujet se constitue. En revanche, Barthes insiste sur le fait que le sujet parlant est déjà inscrit dans un système de signes anonymes et répétés. Le langage, selon lui, ne sert pas à exprimer, mais à reproduire dans un cadre historique et idéologique. Cette divergence révèle une incertitude du sujet et une angoisse ontologique liée à l’instance du discours. L’écriture en est le reflet: elle est à la fois le lieu d’apparition du sujet et de son aliénation. Barthes qualifie l’écriture de “langage durci”: l’écrivain parle toujours à travers des voix héritées. Ainsi, l’instance du discours est un espace saturé par les paroles d’autrui. Le croisement entre Benveniste et Barthes met en lumière une problématique centrale de la théorie contemporaine du discours.
목차
1. 서론
2. 발화행위를 통한 주체 정의와 담화 기원
3. 바르트의 이론에서 담화 기원
4. 담화 기원과 발화자의 불확실성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크 타티 코미디의 단초로서의 <윌로 씨의 휴가> 고찰
- 샤를 브라방의 <위험한 관계> : ‘서간체 영화’ 만들기 방식과 감독의 다큐멘터리적 시선 연구
- 책의 즐거움 : 조르주 페렉의 책에 대한 물질적 관심
- 프랑스어권 언어 및 문화 능력 함양을 위한 프랑스어권 서아프리카와 한국 속담의 어휘문화에 대한 상호문화적 연구 - 동물, 음식, 사물 관련 속담을 중심으로
- 담화 기원(instance du discours)의 불확실성에 대한 연구 : 에밀 벤브니스트Émile Benveniste와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의 이론을 중심으로
- 프로이트의 유머론과 블랙 유머의 차별적 의미
- 미셸 우엘벡의 초기 시에 나타난 보들레르의 영향 : 『살아있기』와 『행복의 추구』
- 몰리에르의 한국무대에서의 수용 : 1936-2022
- 프랑스학연구 제108권 목차
- [특별기고] 동물을 향한 시인의 연민 -보들레르(「백조」)와 위고(「두꺼비」)의 경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BEST
- ‘진정한’ 문학이란 무엇인가 - 조르주 바타유의 「르네 샤르에게 보내는 서한 : 작가의 모순들에 관하여」 읽기
-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과 창의성
- 인공지능 AIVA와 프랑스의 AI 저작권 문제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NEW
- 자크 타티 코미디의 단초로서의 <윌로 씨의 휴가> 고찰
- 샤를 브라방의 <위험한 관계> : ‘서간체 영화’ 만들기 방식과 감독의 다큐멘터리적 시선 연구
- 책의 즐거움 : 조르주 페렉의 책에 대한 물질적 관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