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립준비 청년의 ‘아동복지시설 아동 치료·재활지원 사업’ 참여 경험에 대한 초점집단 인터뷰 연구: 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Focus Group Interview Study on the Experiences of Youths Transitioning out of Foster Care Participated in the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Services for Children in Foster Care’: Focusing on Program Evalua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하은혜(Eun Hye Ha)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9권 제2호, 55~7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youths transitioning out of foster care who participated in the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Services for Children in Foster Care.” It examined the impact and significance of the program on the adaptation in foster care and their transition to independence after moving out of care. Additionally, it explored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 the treatment process and identified areas for improvement to enhance the program’s effectiveness.
Methods: A FGI was conducted for two hours with three youths who had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he services.
Results: The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Services for Children in Foster Care” helped the participants increase self-esteem, reduce behavior problems, and become self-reliant after transitioning out of care. Furthermore, regarding business improvement, there was consideration of the stigma effect that may occur during the treatment selection process, changes in the therapist in the course of treatment, provision of specific information about treatment to beneficiary children, inspection of psychotherapy centers, and securing individual treatment time and space. It was found that even after transitioning out of foster care, psychotherapy and intervention should be expanded for the youths, and counseling of care workers who directly nurture children in the foster care was necessary.
Conclusion/Implications: The services helped reduce participants’ behavior problems in foster care and supported their independence after transitioning out of care. However, it is necessary to expand psychotherapy after transitioning and provide counseling for care workers who directly nurture children in foster care.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 자립준비 청년의 ‘아동복지시설 아동 치료·재활지원 사업’ 참여 경험에 대한 초점집단 인터뷰 연구: 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초기 청소년기 학대 경험이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와 자아존중감의 횡단적 경로모형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9권 제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