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ross-Sectional Path Model of Early Adolescents’ Maltreatment Experiences on Peer Attachment: The Mediating Roles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and Self-Esteem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희경(Hee-kyung Kim) 하은혜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9권 제2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e experiences and peer attachment in early adolescence using a cross-sectional path analysis model.
Methods: A total of 1,066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560 males, 506 females) who were participating in the 14th data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in 2021.”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tudy used the Parent Abuse Scale,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 Scale, Self-esteem Scale and Peer Attachmen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path analysis assuming a structural model using SPSS 28.0 and AMOS 28.0 statistical program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hysical abuse during early adolesce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with externalizing problems. However, verbal and emotional abuse had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s with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lf-esteem, and selfesteem, while self-esteem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er attachment. Additionally, internalizing problems and self-esteem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verbal and emotional abuse and peer attachment.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preventing parental verbal and emotional abuse during early adolescence is essential for fostering positive self-concep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Since mental health problems in adolescents can lead to personal and social losses, early interventions to prevent verbal and emotional abuse, which disrupts the internalization of problems and diminishing self-esteem are critically neede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 자립준비 청년의 ‘아동복지시설 아동 치료·재활지원 사업’ 참여 경험에 대한 초점집단 인터뷰 연구: 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초기 청소년기 학대 경험이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와 자아존중감의 횡단적 경로모형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9권 제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