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mpirical Examination of Suspect Identity Disclosure Criteria
- 발행기관
- 한국형사정책학회
- 저자명
- 이민준(Minjun Lee) 이정원(Jungwon Lee)
- 간행물 정보
- 『형사정책』第37卷 第2號, 137~17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특정 요건을 만족하는 피의자의 신상을 공개하는 제도인 피의자 신상공개제도는 지난 2024년 중대범죄신상공개법이 시행되면서 더욱 활성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비슷한 범죄 양상을 나타내는 사건들에 대한 엇갈린 신상공개 결정들은 본 제도에 결정의 비일관성에 대한 의문을 남기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피의자 신상공개 사례를 통해, 피의자 신상공개 여부에 대한 신상공개 요건의 효과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총 211건의 살인사건에 대해서 신상공개 요건과 여론을 비롯한 다양한 법 내·외적 변인을 수집하여 신상공개 여부를 예측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신상공개 요건 변인들 중에서는 사체훼손, 치밀한 범행, 2인 이상의 공모자, 현행범, 묻지마 범행 변인이 신상공개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법 외적 변인으로는 기사 수 변인이 신상공개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각 변인의 설명력을 비교분석한 결과, 신상공개 요건 변인들보다 여론 변인의 설명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여론의 집중이 피의자 신상공개 결정에 영향을 주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그 영향이 법률상의 요건들보다도 더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는 피의자 신상공개제도가 보다 객관적이고 일관된 제도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 여론이 미칠 영향에 주의할 것과 법률상 요건들을 구체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suspect identity disclosure system, which authorizes the public release of a suspect’s personal information when statutory criteria are satisfied, has been further invigorated since the 2024 enactment of the Serious Crime Identity Disclosure Act. Nevertheless, divergent disclosure decisions in cases displaying similar criminal patterns raise concerns about inconsistency in the system’s application. This study therefore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disclosure criteria by analyzing all known disclosure cases to date. Using data from 211 homicide cases, we collected legal and extra-legal variables-including statutory disclosure criteria and measures of public opinion-and conducte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to predict whether a suspect’s identity would be disclosed. Among the statutory criteria, body mutilation, premeditation, involvement of two or more accomplices, arrest in flagrante delicto, and “indiscriminate” (motiveless) offenses significantly predicted disclosure. Among the extra-legal variables, the number of news articles emerg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Comparative analyses of each variable’s explanatory power revealed that public-opinion variables explained disclosure decisions better than the statutory criteria. This finding suggests that media attention may exert a stronger influence on disclosure decisions than the legal requirements themselves. Accordingly, the study recommends heightened vigilance regarding media effects and greater specificity in the statutory criteria to ensure that the suspect identity disclosure system operates in a more objective and consistent manner.
목차
Ⅰ. 서론
Ⅱ. 피의자 신상공개 영향요인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Ⅵ. 정책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