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egal Issues Regarding the Inheritance Law Status of Half-Blood Siblings
- 발행기관
- 한국가족법학회
- 저자명
- 김현솔(Hyunsol Kim)
- 간행물 정보
- 『가족법연구』第39卷 2號, 265~29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Under the Korean Civil Act, siblings of a decedent are designated as third-priority statutory heirs. Since the 1990 amendment to the Civil Act, all siblings — whether of full or half blood — have been equally recognized as heirs. However, as family structures diversify, particularly with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remarried families, the uniform recognition of half-blood siblings as heirs irrespective of familial closeness raises legal and policy concerns. This calls for a reexamination of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sibling succession and a critical assessment of the legitimacy of the current legal position on the inheritance rights of half-blood siblings.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the normative basis for succession by siblings through a review of existing domestic theories and a comparative legal analysis of foreign jurisdictions’ treatment of full- and half-blood siblings. It argues that, among the competing theories, the presumed intent (Will Theory) of the decedent provides the most appropriate justification for sibling succession. While equal treatment of full- and half-blood siblings should remain the default principle, this article contends that in certain exceptional circumstances — where the presumed intent of the decedent cannot reasonably be inferred in favor of a half-blood sibling — such succession rights should be limited.
To that end, the paper examines specific legal issues related to the inheritance rights of half-blood siblings, including the designation as statutory heirs, share in inheritance, division of inherited property, right to reclaim inheritance, and the application of the newly introduced disqualification-for-inheritance ruling. Lastly, the study evaluates possible mechanisms for limiting such rights—whether by statute, expression of will, or judicial determination—and proposes a legislative reform that would amend Article 1000 (1) 3 of the Civil Act to introduce a proviso and related presumptive provision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형제자매 상속의 근거
Ⅲ. 반혈 형제자매의 상속법적 지위에 관한 제 문제
Ⅳ. 입법론적 제안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의 유언대용신탁의 논의 동향
- 김주수(金疇洙) 선생님(1924~2021): 한국 가족법 현대화의 선구자
- 미국법상 이혼 후 부양에 관한 연구
- 차양자(次養子)에 관한 관습
- 「국내입양에 관한 특별법」 개관 - 몇 가지 쟁점 검토를 겸하여
- 상속신탁의 객체 - 가상자산을 중심으로
- 가족법연구 제39권 제2호 목차
- 미혼부 출생신고에 관한 위헌결정과 입법방안 - 한국의 사례
- 日本における親権制度 ― 2024年民法改正との関連を含めて
- 後継ぎ遺贈·遺言代用信託·後継ぎ遺贈型信託について
- 금산(衿山) 최달곤(崔達坤) 선생님(1933~2010)의 삶과 학문 세계
- 이화숙(李和淑) 선생님(1946~2022): 치열한 연구자, 믿음의 딸, 정의를 찾는 사람
- 신영호 선생님의 가족법의 미래에 관한 연구 회고 - 고령사회를 대비한 부양과 상속의 접목, 성년후견제도 연구를 중심으로
- 부모 중 한쪽만 같이하는 형제자매의 상속법적 지위의 제 문제
- 보조생식을 이용할 권리에 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S.H. and Others v. Austria 판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