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Overview of the Special Act on Domestic Adoption : With a Brief Review of Selected Issues
- 발행기관
- 한국가족법학회
- 저자명
- 현소혜(So Hye Hyun)
- 간행물 정보
- 『가족법연구』第39卷 2號, 207~264쪽, 전체 58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9,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article analyzes the principal procedures and interpretative issues arising under the Special Act on Domestic Adoption, which is set to take effect on July 19, 2025. In contrast to the former Special Adoption Act, the new legislation confines its scope to domestic adoptions and transitions the adoption process from a private agency-based framework to a public system. It reallocates responsibilities by assigning child protection to local governments, adoption applications and home studies to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matching process to the Adoption Policy Committee, while abolishing the adoption agency system. The study first outlines the legislative background and guiding principles of the new Act. It then examines major amendments concerning the requirements and legal effects of adoption, as well as the corresponding child protection measures throughout each procedural stage.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issues such as protective measures of adoption by local authorities, the conditions for valid consent, enhanced eligibility requirements for prospective adoptive parents, the matching procedure, the duration of adoption proceedings, the abolition of dissolution of adoption, the introduction of pre-adoptive placement decision, and the appointment of guardians for adoptable childre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 혁
Ⅲ. 국내입양특별법의 의의와 입양의 원칙
Ⅳ. 국내입양의 성립과 관련된 법률관계
Ⅴ. 국내입양 대상 아동의 보호 체계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의 유언대용신탁의 논의 동향
- 김주수(金疇洙) 선생님(1924~2021): 한국 가족법 현대화의 선구자
- 미국법상 이혼 후 부양에 관한 연구
- 차양자(次養子)에 관한 관습
- 「국내입양에 관한 특별법」 개관 - 몇 가지 쟁점 검토를 겸하여
- 상속신탁의 객체 - 가상자산을 중심으로
- 가족법연구 제39권 제2호 목차
- 미혼부 출생신고에 관한 위헌결정과 입법방안 - 한국의 사례
- 日本における親権制度 ― 2024年民法改正との関連を含めて
- 後継ぎ遺贈·遺言代用信託·後継ぎ遺贈型信託について
- 금산(衿山) 최달곤(崔達坤) 선생님(1933~2010)의 삶과 학문 세계
- 이화숙(李和淑) 선생님(1946~2022): 치열한 연구자, 믿음의 딸, 정의를 찾는 사람
- 신영호 선생님의 가족법의 미래에 관한 연구 회고 - 고령사회를 대비한 부양과 상속의 접목, 성년후견제도 연구를 중심으로
- 부모 중 한쪽만 같이하는 형제자매의 상속법적 지위의 제 문제
- 보조생식을 이용할 권리에 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S.H. and Others v. Austria 판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