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Post-Divorce Spousal Support under U.S. Law
- 발행기관
- 한국가족법학회
- 저자명
- 이소은(Soeun Lee)
- 간행물 정보
- 『가족법연구』第39卷 2號, 119~161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Korean civil law does not provide for a post-divorce spousal support system. In judicial practice, the need for spousal support is considered only in connection with claims for division of property. However, since the primary function of property division is to liquidate the couple’s jointly acquired property, relying on it as a substitute for post-divorce support has inherent limitations. Where a spouse’s need for support after divorce must be addressed, it is more appropriate to introduce a distinct post-divorce support regime: one in which the division of property serves to settle joint marital assets, while post-divorce support ensures the livelihood of a spouse who, due to diminished earning capacity, cannot maintain economic independence. This paper draws on the long-standing and varied experience of the United States ―where post-divorce support (alimony) has been implemented with significant state-by-state variation― to explore whether Korea should adopt such a system. It is most reasonable to understand post-divorce spousal support as compensation for a spouse’s contributions during the marriage and for any reduction in earning capacity resulting from the marital relationship. During the marriage, spouses typically contribute to each other’s lives in various forms. Among these, direct contributions should be addressed through property division, while indirect contributions should be compensated through post-divorce support. Relevant factors in determining eligibility and amount of post-divorce support include: (1) the duration of the marriage; (2) the income and earning disparities between the parties at the time of divorce; (3) the existence of children; and (4) who retains custody of any minor children. As for the method of payment, while both periodic payments and lump-sum payments are possible, this paper argues that lump-sum payments should be the general rule for post-divorce support.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미국법상 이혼 후 부양 개관
Ⅲ. 미국법상 이혼 후 부양의 내용
Ⅳ. 우리 법에 대한 시사점
Ⅴ. 개정 제안 - 결론에 갈음하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의 유언대용신탁의 논의 동향
- 김주수(金疇洙) 선생님(1924~2021): 한국 가족법 현대화의 선구자
- 미국법상 이혼 후 부양에 관한 연구
- 차양자(次養子)에 관한 관습
- 「국내입양에 관한 특별법」 개관 - 몇 가지 쟁점 검토를 겸하여
- 상속신탁의 객체 - 가상자산을 중심으로
- 가족법연구 제39권 제2호 목차
- 미혼부 출생신고에 관한 위헌결정과 입법방안 - 한국의 사례
- 日本における親権制度 ― 2024年民法改正との関連を含めて
- 後継ぎ遺贈·遺言代用信託·後継ぎ遺贈型信託について
- 금산(衿山) 최달곤(崔達坤) 선생님(1933~2010)의 삶과 학문 세계
- 이화숙(李和淑) 선생님(1946~2022): 치열한 연구자, 믿음의 딸, 정의를 찾는 사람
- 신영호 선생님의 가족법의 미래에 관한 연구 회고 - 고령사회를 대비한 부양과 상속의 접목, 성년후견제도 연구를 중심으로
- 부모 중 한쪽만 같이하는 형제자매의 상속법적 지위의 제 문제
- 보조생식을 이용할 권리에 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S.H. and Others v. Austria 판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