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as Sozialstaatsprinzip als Grundprinzip der Verfassung
- 발행기관
- 유럽헌법학회
- 저자명
- 허완중(Wan-Jung Heo)
- 간행물 정보
- 『유럽헌법연구』제48호, 1~58쪽, 전체 58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9,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회국가는 모든 국민이 자주적 책임 아래 자기 인격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국가가 모든 국민에게 기초적 생활조건을 조성하여 주고, 사회적 약자를 그들이 처한 위기상황에서 보호ㆍ배려하며, 나아가 모든 국민의 복지를 가능한 한 균등하게 촉진함으로써 사회정의를 실현하는 국가를 말한다. 사회국가는 산업사회에서 생긴 사회의 긴장과 갈등, 대립을 해소하고 극복하여 사회적 통합을 이루는 국가이다. 특히 사회적ㆍ경제적 최저 생활을 보장하고 정의로운 사회질서를 형성하려고 각종 조치를 취할 의무가 있는 국가가 사회국가이다. 따라서 사회국가는 사적 영역에 대한 개입과 간섭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이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관여하여야 하므로, 국가는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소극적으로 보장하는 것을 넘어 국민이 자유와 권리를 실현할 수 있는 기본적 전제를 적극적으로 형성하는 것까지 의무로 한다. 대한민국 헌법은 ‘사회국가’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대한민국 헌법은 사회국가를 구현하는 내용을 폭넓게 규정한다.
사회국가원리는 헌법의 기본원리로서 국가를 구성(조직)하는 원리이면서 국가에 과제를 부과하는 원리이다. 따라서 사회국가원리는 단순한 정치적 선언에 지나지 않는 백지 개념이 아니라, 모든 국가권력에 의무를 부과하는 헌법규범으로서 사회국가 과제를 준수하고 실행하도록 명령하는 법규범이다. 그리고 사회국가원리는 민주국가원리(민주주의)나 법치국가원리와 달리 국가를 구성(조직)하는 원리로 기능하기보다는 먼저 국가에 과제를 부과하는 원리로 기능한다. 이러한 점에서 사회국가원리는 객관적인 국가목표규정의 성격이 있다. 사회국가는 오로지 대상, 목표, 정의로운 사회적 질서만을 확정할 뿐이지, 방법, 즉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하여 모든 것을 열어둔다. 이러한 사회국가 과제를 구체화할 의무는 일차적으로 입법자에게 있다. 사회국가원리는 객관적인 헌법원리이므로 여기서 구체적인 권리가 도출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사회국가원리는 기본권에 대한 해석 기준으로 작용한다. 특히 사회국가원리는 기본권 실현의 물적 토대를 구축하여야 하는 과제 실현을 국가 목적으로 설정한다.
사회국가의 첫 번째 목표는 빈곤과 곤궁에 대한 지원과 모든 사람을 위한 인간다운 생존의 최소수준을 보장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사회국가원리는 국가에 국민의 기초적인 생활 조건을 조성할 의무를 부과한다. 삶이 바뀌어도 사회적 안전을 충실히 지키는 것도 사회국가의 목표이다. 그래서 사회국가원리는 국가에 개인적인 조건이나 사회적인 상황으로 말미암아 자신의 인격적ㆍ사회적 발전에서 장애가 있는 개인이나 집단을 배려하라고 요구한다. 따라서 국가는 모든 국민을 위기상황이나 긴급상황에서 보호하는 데 필요한 제도를 마련하고 유지하여야 할 의무를 진다. 그리고 사회국가는 개인 각자에게 자유를 실질적으로 행사하는 데 필요한 조건을 보장하여야 한다. 빈부 차이 감소와 의존관계 통제를 통한 더 많은 평등 실현도 사회국가가 추구하는 바이다. 그래서 사회국가는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보호하며 모든 국민의 복리를 가능하면 평등하게 증진하고 부담을 가능하면 평등하게 분배하려고 한다.
영문 초록
Die Sozialstaat ist ein Staat, der allen Staatsbürgern grundlegende Lebensbedingungen schafft, damit sie ihre Persönlichkeit unter eigener Verantwortung entwickeln können. Der Staat schützt und unterstützt die sozial Schwächeren in Krisensituationen, in denen sie sich befinden, und fördert das Wohlergehen aller Staatsbürger so gleichmäßig wie möglich, um soziale Gerechtigkeit zu verwirklichen. Der Sozialstaat ist ein Staat, der die Spannungen, Konflikte und Widersprüche in der Gesellschaft, die in der Industriegesellschaft entstanden sind, löst und überwindet, um soziale Integration zu erreichen. Insbesondere ist der Sozialstaat verpflichtet, Maßnahmen zu ergreifen, um das Existenzminimum der wirtschaftlich und sozial schwächeren Personen zu gewährleisten und eine gerechte gesellschaftliche Ordnung zu schaffen. Daher ist der Sozialstaat nicht nur dazu verpflichtet, in den privaten Bereich einzugreifen und sich zu beteiligen, sondern er muss aktiv in diesen eingreifen und sich mit ihm befassen. Der Staat hat somit die Pflicht, nicht nur passiv die Freiheit und Rechte der Bürger zu garantieren, sondern auch aktiv die grundlegenden Voraussetzungen zu schaffen, damit die Staatsbürger ihre Freiheit und Rechte verwirklichen können. Die Verfassung der Republik Korea verwendet zwar nicht den Begriff „Sozialstaat“, aber sie regelt umfassend die Inhalte, die die Verwirklichung des Sozialstaates betreffen.
Das Sozialstaatsprinzip ist als Grundprinzip der Verfassung sowohl ein Prinzip, das die Organisation des Staates bestimmt, als auch ein Prinzip, das dem Staat Aufgaben auferlegt. Daher ist das Sozialstaatsprinzip keine bloße politische Erklärung oder ein leerer Begriff, sondern eine verfassungsrechtliche Norm, die den Staat verpflichtet, die Aufgaben des Sozialstaates zu befolgen und auszuführen. Im Unterschied zu Grundprinzipien wie dem demokratischen Staatsprinzip oder dem Rechtsstaatsprinzip, die die Organisation des Staates bestimmen, fungiert das Prinzip des Sozialstaates primär als ein Prinzip, das dem Staat Aufgaben auferlegt. In dieser Hinsicht hat das Sozialstaatsprinzip den Charakter einer objektiven Zielvorgabe des Staates. Der Sozialstaat legt nur das Ziel, die Aufgabe und eine gerechte soziale Ordnung fest, lässt jedoch alle Methoden offen, die zur Erreichung dieses Ziels erforderlich sind. Die Pflicht, diese Aufgaben des Sozialstaates konkret zu gestalten, liegt in erster Linie beim Gesetzgeber. Da das Sozialstaatsprinzip eine objektive verfassungsrechtliche Norm ist, wird daraus kein konkretes Recht abgeleitet. Dennoch wirkt das Sozialstaatsprinzip als Auslegungsmaßstab für die Grundrechte. Insbesondere stellt das Sozialstaatsprinzip die Aufgabe auf, die materiellen Grundlagen für die Verwirklichung der Grundrechte zu schaffen und dies als Staatsziel zu definieren.
Das erste Ziel des Sozialstaates ist die Unterstützung bei Armut und Not sowie die Gewährleistung eines menschenwürdigen Existenzminimums für alle Menschen. Dementsprechend auferlegt das Sozialstaatsprinzip dem Staat die Pflicht, die grundlegenden Lebensbedingungen für die Staatsbürger zu schaffen. Ein weiteres Ziel des Sozialstaates ist es, die soziale Sicherheit auch dann aufrechtzuerhalten, wenn sich das Leben verändert. Daher verlangt das Sozialstaatsprinzip vom Staat, dass er auf die Bedürfnisse von Individuen oder Gruppen Rücksicht nimmt, die aufgrund persönlicher oder sozialer Umstände Hindernisse in ihrer persönlichen und sozialen Entwicklung haben. Der Staat hat somit die Pflicht, Systeme einzurichten und aufrechtzuerhalten, die erforderlich sind, um alle Staatsbürger in Krisensituationen oder Notfällen zu schützen. Darüber hinaus muss der Sozialstaat die Bedingungen gewährleisten, damit jeder Einzelne seine Freiheit tatsächlich ausüben kann. Die Verringerung der Einkommensungleichheit und die Kontrolle von Abhängigkeiten zur Förderung größerer Gleichheit sind ebenfalls Ziele des Sozia
목차
Ⅰ. 머리말: 사회주의와 구별되어야 할 사회국가원리
Ⅱ. 국가를 이해하는 체계 변경의 역사적ㆍ이념적 배경
Ⅲ. 사회국가원리의 의의
Ⅳ. 사회국가원리의 내용
Ⅴ. 사회국가원리의 구체화
Ⅵ. 사회국가원리와 다른 기본원리의 관계
Ⅶ. 사회국가원리의 한계
Ⅷ. 맺음말: 재정적 낭비가 아니라 경제적 투자로 이해되어야 할 복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헌법의 기본원리로서 사회국가원리
- 유럽헌법다원주의 이론과 한계 - 유럽 권위주의 사례를 통해서 본 헌법다원주의 이론의 실천적 위기와 시사점
- 안락사 도입의 입법 현황과 시사점 - EU 국가를 중심으로
- 표현의 자유와 허위정보 규제와의 균형 - 프랑스의 법령 및 판례를 중심으로
-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 원칙의 비교법적 검토 - 미국과 유럽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인공지능기본법상 “고영향 인공지능”과 관련된 기본권 논의 - EU의 AI규제법과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인공지능기본법)’ 비교를 겸하여
- 디지털 시대의 기본권과 국가기관에 의한 스마트홈 데이터 접근의 법적 문제 - 독일에서의 논의를 토대로
- 사이버위협 민관합동 대응조직 역할 강화를 위한 제도운영 방안
- 독일 정보기관과 수사기관 간 정보협력에 관한 헌법적 고찰 - 공동정보관리 시스템 및 정보공유 협력체 조직을 통한 정보협력을 중심으로
- ‘교권보호’에 관한 헌법적 소고 - 교권 5법에 관한 헌법학적 고찰을 중심으로
- 지방자치 및 지역 대표성 강화를 위한 지역정당 도입에 관한 연구
- 지역소멸과 지역의료를 둘러싼 헌법적 문제 - 건강권 보장을 중심으로
- 인구감소 시대의 지역 소멸 대응과 일자리 창출의 법제적 검토 - 기업 이전 활성화 정책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