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Short-Form Content Creation on Stress among People in Their 20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사회통합연구센터
- 저자명
- 최근원(Keunwon Choi) 박정민(Jeongmin Park) 이리아(Ria Lee) 조재희(Jaehee Cho)
- 간행물 정보
- 『사회통합연구』Vol. 6, No. 2, 37~82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 여가 활동의 범주에 새로이 등장한 '숏폼'이라는 미디어 소비 및 생산 방식에 집중하여 숏폼 콘텐츠 제작에 따른 이용 만족도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특히 20대가 숏폼 콘텐츠를 시청뿐 아니라, 제작 및 배포까지 하는 주체적 소비층이기에 숏폼 이용률이 높고, 제작 경험이 있는 20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긍정심리자본(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희망, 복원력)을 매개로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숏폼 콘텐츠 제작 이용 만족이 높아질수록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이를 긍정심리자본이 매개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숏폼 콘텐츠 제작 만족도는 긍정심리자본 중 자기효능감과 복원력이 완전 매개를 하며 스트레스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콘텐츠의 길이가 짧고 접근성이 용이해 이용할 때 낮은 관여를 요구하는 숏폼 콘텐츠의 특성에 비추어 해석할 수 있다. 더불어 숏폼 콘텐츠 제작을 통한 만족이 커질 시 개인의 심리자본을 발달시켜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는 점과 시청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제작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short-form” as a newly emerging category of media consumption and production in modern society’s leisure activities, analyzing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short-form content creation on stress. In particular, since people in their 20s are not only viewers but also active producers and distributors of short-form content,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individuals in their 20s with high usage rates and production experience. The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whether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optimism, hope, and resilience). The results confirmed that higher satisfaction with short-form content creation leads to lower stress, an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diates this relationship. Specifically, among the componen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short-form content creation and stress reduction. These findings can be interpreted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short-form content, which, due to its brevity and accessibility, requires low involvement from users. Furthermore,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monstrates how satisfaction derived from short-form content creation can foster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psychological capital, thereby positively affecting stress reduction. It also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focusing on content creation rather than viewing, which has been the primary focus of most previous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