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ESG Committees on Audit Efforts
- 발행기관
- 한국회계정보학회
- 저자명
- 한세라(Sera Han) 조광희(Kwanghee Cho) 최준혁(Jun Hyeok Choi)
- 간행물 정보
- 『재무와 회계정보저널』제25권 제2호, 63~99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최근 기후변화대응과 관련해서 변화하는 규제, 투자, 산업 환경으로 인해 기업들의 ESG 경영이 본격화 되고 있으며, 기업들의 변화된 경영은 ESG 위원회의 설치로 나타나고 있다. ESG 경영은 지배구조에게 높은 수준의 감사품질을 시그널링할 필요성을 주며, 증가하는 규제는 지배구조에게 더 철저한 감사로 규제 위험을 감소시킬 유인을 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ESG 위원회가 감사인의 감사노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연구이다.
[연구방법]2016년에서 2020년까지의 5개년간 8,627개 코스피와 코스닥 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OLS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첫째, ESG 위원회 설치는 감사인의 감사시간을 증가시켰다. 둘째, 적극적 ESG 경영을 표방하는 명칭을 사용하는 ESG 위원회에서 감사시간 증가 효과가 더 잘 나타났다. 셋째, 지배구조 측면에서는 외국인 지분율이 높은 기업에서 ESG 위원회와 감사시간 사이의 관계가 더 잘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형회계법인의 감사를 받는 기업에서 ESG 위원회와 감사시간 사이의 관계가 잘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ESG 위원회가 지배구조의 보편적인 형태로 확대되어 가는 중요성 측면과, 국내외에 ESG 위원회의 효과 연구가 제한적이라는 측면에서 선행연구에 추가적인 기여도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경영 측면에서 ESG 경영이 필수가 되어 가듯이, 향후 다수 연구들이 지배구조의 중요한 고려 사항으로서 ESG 위원회를 고려할 필요성을 제기한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는 의미를 가진다고 본다.
영문 초록
[Purpose]As companies respond to changing regulations, investment, and industrial environments related to climate change,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management has become more widespread. This shift in management practices is reflected in the establishment of ESG committees within companies.
[Methodology]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ESG committees on auditors’ audit efforts. OLS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on 8,627 KOSPI and KOSDAQ listed companies over a five-year period from 2016 to 2020.
[Findings]First, the establishment of ESG committees led to an increase in auditors’ audit hours. Second, this effect was more pronounced in ESG committees that adopted active and explicit names reflecting proactive ESG management. Third, from a governance perspective, this relationship was stronger in companies with higher foreign ownership. Lastly, the relationship was more evident in companies audited by big 4.
[Implications]This study provides additional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given the growing significance of ESG committees as a standard form of governance and the limited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ESG committe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 설계
Ⅳ. 실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