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arbon Reduction Strategies in the Energy Industry: The Cases of Shell, TotalEnergies, and ExxonMobil
- 발행기관
- 한국윤리경영학회
- 저자명
- 이호영(Hoyoung Lee) 최동준(Dongjoon Choi) 이선경(Sunkyung Lee)
- 간행물 정보
- 『윤리경영연구』제25권 제1호, 25~64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온실가스 배출 비중이 가장 높은 석유 및 가스(Oil & Gas) 산업을 중심으로, 글로벌 민간 기업들의 탄소중립 전략을 비교 분석하여 환경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제도적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미국과 유럽의 대표 민간 에너지 기업인 엑손모빌(ExxonMobil), 셸(Shell), 토탈에너지(TotalEnergies)를 사례로, 각국의 환경 규제 강도와 일관성 차이가 기업의 전략 방향, 기술 투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는 단순한 기업 전략의 차원이 아닌, 제도 환경, 이해관계자 압력, 에너지 안보 인식 등 복합 요인의 상호작용 결과로 해석된다.
연구는 지속가능성 보고서, 에너지 전환 전략, 기후 시나리오 등을 정량・정성적으로 분석하였으며, Scope 1・2・3 감축 목표, 에너지 믹스 변화, 시나리오 활용 방식을 비교하였다. 셸과 토탈에너지는 ‘Sky 2050’, ‘Rupture’ 등 시나리오 기반으로 2050년 순배출 제로(Net Zero)를 지향하며, 수소, 전기차 충전, 탄소상쇄 등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다. 반면 엑손모빌은 ‘Global Outlook’에 기반해 2030년까지 탄소집약도 중심의 단기 전략과 LNG・CCS 중심의 대응을 채택하고 있으며, Scope 3 감축 전략은 부재하다.
이러한 차이는 에너지 산업의 장기 투자 구조와 더불어, 정책 일관성과 제도적 예측 가능성이 기업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유럽은 『Fit for 55』, 『EU ETS』 등 연계된 정책을 통해 장기적인 에너지 전환 투자를 유도하는 반면, 미국은 정권 교체와 주정부 간 편차로 인해 정책적 불확실성이 크다. 이에 따라 유럽 기업은 전환 중심 전략을, 미국 기업은 유연한 적응형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환경 규제와 정책이 기업 전략의 핵심 결정요소로 작용함을 보여주며, 한국 정유・에너지 산업의 환경경영 과제와 글로벌 규제 대응 방향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oil and gas industry, which is one of the largest contributors to global greenhouse gas emissions, by comparing the carbon neutrality strategies of the private energy companies ExxonMobil (U.S.), Shell (U.K.), and TotalEnergies (France). In particular, this research analyzes how variation in the strength and consistency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influences corporate strategy and technology investment. These differences are understood to be the result of institutional factors, stakeholder pressure, and energy security perceptions.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of sustainability reports, energy transition plans, and climate scenarios, this study compares Scope 1, 2, and 3 emissions targets, energy mix shifts, and scenario applications. Shell and TotalEnergies pursue net-zero strategies based on scenarios such as “Sky 2050” and “Rupture”, expanding into hydrogen, electric vehicle infrastructure, and carbon offsetting. In contrast, ExxonMobil relies on a short-term, intensity-based approach focused on LNG and carbon capture and storage, without a clear Scope 3 reduction strategy. These findings reveal how long-term investment horizons and capital intensity in the energy sector interact with regulatory consistency to affect strategic decisions. The EU, through policies such as “Fit for 55” and the EU Emissions Trading System, promotes long-term investment, while the U.S. faces strategic uncertainty due to political and regulatory fragmentation. As a result, European firms tend to adopt transformational strategies, whereas U.S. firms follow more adaptive approaches. This study highlights the role of environmental policy as a key driver of corporate strategy and offers insights for Korea’s energy sector in addressing global regulatory challenges.
목차
Ⅰ. 서 론
Ⅱ. 에너지 산업과 탄소중립
Ⅲ. 석유 및 가스 기업의 환경경영 전략
Ⅳ. 석유 및 가스 기업의 탄소감축 전략의 차이점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기계학습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지역 창업생태계 구조분석: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사례연구
- BSC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자영업자의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