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ating Program Development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nalysis of Effectiveness
- 발행기관
- 한국장애학회
- 저자명
- 조선영(Sun Young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학회지』제9권 제2호, 151~17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의 대인관계 향상과 자기표현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이성교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프로그램 개발은 ADDIE 교수설계 모형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참여자들의 실제 욕구와 발달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섯 가지 핵심 모듈(이성교제 예절교육, 자기표현 훈련, 스타일스쿨, 커플운동, 부모참여)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복지관의 성인 발달장애인 24명으로, 실험군과 통제군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효과성 평가에서는 양적 접근과 질적 접근을 병행하여 프로그램의 유의미한 영향을 확인하고, 참여자 및 보호자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얻었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참여 후 실험군의 이성교제 태도 및 예절 수준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자기 결정 및 대인관계 기술이 증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긍정적 경험은 발달장애인의 정서적 안정과 자존감 향상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의 건강한 대인관계 형성을 지원할 수 있는 통합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였으며, 향후 발달장애인을 위한 관계교육 및 지원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dating program to enha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expression skills amo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analyze its effectiveness. The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the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incorporating five key modules—etiquette education for dating, self-expression training, style school, couple activities, and parental involvement—to address the specific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tudy involved 24 adult particip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a welfare center in Seoul, who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o verify the program’s effectiveness. The evaluation employ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confirming the program's significant impact and garnering positive feedback from participants and their caregivers.
The findings showed that, following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dating attitudes and etiquette, as well as enhanced self-determin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Additionally, participant satisfaction and positive experiences contributed to increased emotional stability and self-esteem amo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an integrated program that supports healthy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mation amo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roviding an important foundation for future relationship education and support for this popul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문헌고찰
3. 프로그램 개발 및 설계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수산해양교육연구
-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행동분석·지원연구
- 한국장애학
-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특수교육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지적장애연구
-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정서·행동장애 연구
-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한국가족관계학회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가족복지학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
- 특수교육
- 한국사회복지학
- Mental Retardation
- Social Policy Journal of New Zealand
-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 Sexuality and Disability
- Educational Design Journal
- Behavioral Interventions
- Mental Retardation
- Sexuality and Disability
- Child Abuse Review
- Sexuality and Disability
- Sexuality and Disability
- Behavior Modification
- In R. Craig (Ed.), Training and Development Handbook
-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 Mental Retardation
-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Trauma
-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 Behavior Modification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아동학대에 관한 포괄적 텍스트 고찰과 피해 당사자 목소리: 가정외보호 중심
- 가족요양보호사의 이중 노동성과 정책적 함의: 탈상품화, 재가족화 관점을 중심으로
- 아동양육시설에서 발달장애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의 통합보육을 수행한 보육사의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