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erience of childcare workers who conducted integrated childcare for inf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infants in child care fac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학회
- 저자명
- 김동석(Dong-Seo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학회지』제9권 제2호, 11~3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보육사가 인식하는 발달장애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 통합보육의 어려움과 장애아동 양육의 현실 문제를 파악하여 아동양육시설 통합보육 개선 방안 및 지원체계를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아동양육시설에서 발달장애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를 통합보육한 경험이 있는 7명의 보육사를 연구참여자로 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18개의 개념, 6개의 하위범주, 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3개의 범주는 ‘발달장애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 통합보육의 어려움’, ‘통합보육에 대한 보육사의 상반된 관점과 인식’, ‘아동양육시설 통합보육의 한계와 장애아동의 전원 문제’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양육시설 통합보육 개선 및 장애아동의 전원 문제 해결을 모색하였으며 이를 위해 통합보육 정보 안내 및 통합보육지원 매뉴얼 제작, 통합보육 전문인력 양성 시스템 및 발달장애영유아 맞춤형 통합보육 시스템 제도화, 장애아동 맞춤형 전원 시스템 구축, 그룹홈 및 재활지원기관 설치, 지역주민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교육 시스템 제도화 마련이 필요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plan and support system for integrated childcare in childcare facilities by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of integrated childcare in childcare facilities and the practical problems of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th childcare workers in integrated childcare for inf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infants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7 childcare workers who conducted integrated childcare for inf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nfants without disabilities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As a result of the study, 18 concepts, 6 subcategories, and 3 categories were derived. The three categories were 'difficulty in integrated childcare for infants and non-disabled inf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tradictory perspectives and perceptions of childcare workers on integrated childcare', and 'limitations of integrated childcare for childcare facilities and problems of relocation to other facilit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is, suggestions for improving integrated childcare in childcare facilities and solving problems related to difficulties in reloca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other facilities are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create integrated childcare information and integrated childcare support manuals, prepare an integrated childcare specialized education system and customized integrated childcare system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stablish a facility movement system tailored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establish a group home and rehabilitation support institution, and prepare an education system to improve local residents' disability awareness.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아동학대에 관한 포괄적 텍스트 고찰과 피해 당사자 목소리: 가정외보호 중심
- 가족요양보호사의 이중 노동성과 정책적 함의: 탈상품화, 재가족화 관점을 중심으로
- 아동양육시설에서 발달장애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의 통합보육을 수행한 보육사의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