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ome Issues Regarding the Applicable Navigation Rules in Designated Routes under the Maritime Traffic Safety Act
- 발행기관
- 한국해사법학회
- 저자명
- 이정원(Jung-won Lee)
- 간행물 정보
- 『해사법연구』제37권 제2호, 1~4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해상교통안전법 제30조 제1항에 따라 국내에 설정된 지방해양수산청장의 고시에 따르면, 대부분의 경우 해상교통안전법 제75조의 통항분리수역에서의 항법에 따라 통항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해상교통안전법이 규정하고 있는해상교통관리체계의 기본구조는 동 법 제75조에서 규정하는 통항분리제도를근간으로 한다. 해상교통안전법 제75조의 핵심 법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통항분리수역에서 선박충돌의 위험이 발생한 상황에서는 어떠한 선박의 경우에도‘절대적이고 우선적 권리(absolute and priority rights)’를 주장하지 못하며, 통항분리수역 안의 통항로를 따라 항행하는 선박의 경우에도 위 원칙의 예외일수 없다. 따라서 통항분리수역을 따라 항행하는 선박의 경우에도 적절한 경계의 수행, 주변 교통환경의 지속적 관찰, 적절한 속력의 유지를 통해 충돌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의무를 부담한다. 둘째, 명문 규정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통항분리수역에는 해상교통안전법 제75조와 다른 일반항법 규정이 중첩적으로적용된다고 볼 것이다. 따라서 통항로를 따라 진행하는 선박과 횡단선박 사이에는 선박들의 조우관계에 따라 해상교통안전법 제5장에서 정하는 일반항법이적용될 것이므로, 각 선박은 일단 형성된 조우관계에 적용되는 항법에 따라 운항할 책무를 부담한다. 셋째, 통항분리수역에서는 부득이한 사유가 없는 한 통항로의 횡단은 원칙적으로 금지되지만, 통항로를 따라 항행하는 선박에 대해서도 적절한 견시의무의 수행, 안전한 속력으로의 항행 등 항법 일반의 요구가면제되지 않는다. 다만, 통항분리수역에서는 어로작업에 종사하고 있는 선박, 길이 20미터 미만의 선박, 범선을 제외한 일반 선박에는 통항불방해 의무를 부과하고 있지 않으므로, 통항로를 따라 항행하는 선박은 통항불방해 의무가 없는 횡단선박에 대하여 통항 우선권이 없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한편 해양수산관서는 우리 영해 내에 설정된 통항분리수역 등에 관한 정보를 외국선박의 조선자 등에게 적절히 인식시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고, 이들 수역에서의항법도 가능한 한 승인된 국제표준에 부합되도록 설정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public notice regarding the designation of traffic routes by the Regional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Agency Administrator, established domestically pursuant to Article 30, Paragraph 1 of the Maritime Traffic Safety Act (hereafter, MTSA), most public notices stipulate that vessels transiting the said area shall navigate in accordance with the navigation rules in traffic separation schemes under Article 75 of the MTSA. Therefore, the basic structure of the maritime traffic management system stipulated by the MTSA is based on the traffic separation scheme regulated in Article 75 of the same Act. The core legal principles of Article 75 of the MTSA are as follows. Firstly, in a situation where a risk of collision occurs within a traffic separation scheme, no vessel, under any circumstances, can claim 'absolute and priority rights'. Furthermore, vessels navigating along a traffic lane within the traffic separation scheme are not an exception to this principle. Therefore, even vessels navigating along a traffic separation scheme are obliged to take appropriate precautions, continuously monitor the surrounding traffic conditions, and maintain a proper speed in order to prevent the risk of collision in advance. Second, despite the absence of explicit provisions, it can be considered that Article 75 of the MTSA and other general navigation rules apply concurrently within traffic separation schemes. Therefore, the general navigation rules stipulated in Chapter 5 of the MTSA shall apply to encounters between vessels proceeding along the traffic lane and crossing vessel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ir encounter. Accordingly, each vessel bears navigational oblig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applicable to the established encounter situation. Third, although a vessel shall, so far as practicable, avoid crossing traffic lanes, vessels navigating along the traffic lane are not exempt from the general navigational requirements, such as maintaining a proper lookout and proceeding at a safe speed. However, within a traffic separation scheme, the obligation not to impede the passage of other vessels is not imposed on vessels engaged in fishing, vessels less than 20 meters in length, and sailing vessels.
Therefore, vessels navigating along the traffic lane should not be considered to have the right of way over crossing vessels that are not subject to the obligation not to impede. Meanwhile, maritime authorities should make efforts to adequately inform foreign vessel operators and other relevant parties of traffic separation schemes established within the territorial water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vigational rules applicable in these waters should, as far as possible, conform to approved international standards.
목차
Ⅰ. 서론
Ⅱ. 해상교통관리체계가 설정된 수역의 의의와 해당 수역에서의 항법 일반론
Ⅲ. 해양수산부장관 등이 고시한 항로나 통항분리수역 및 교통안전 특정해역 안이나 부근에서 통항하는 선박들 사이의 항법적용의 구체적 문제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통항분리제도
교통안전특정해역
통항로의 고시
통항불방해의무
해상교통안전법 제75조
1972년 국제해상충돌방지규칙 제10조
Traffic Separation Scheme
Specific Sea Areas for Traffic Safety
Public Notice of Designation of Fairway/Traffic Lane
Duty of not impeding the passage of any vessel
Article 75 of the Maritime Traffic Safety Act
Rule 10 of the Convention on the 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Preventing Collisions at Sea 1972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해상풍력발전 단지의 안전관리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해상교통안전법에 따른 지정 항로 등에서의 적용 항법에 관한 몇 가지 문제
- BBNJ협정과 기존 국제해양법 질서와의 관계 분석: ITLOS의 기후변화에 대한 권고적 의견을 중심으로
- IMO 협약상 친환경 연료로 인한 손해배상책임 적용성에 관한 연구
- 연안사고 예방에 관한 소고: 테트라포드 위 낚시활동 안전관리의 법제적 과제를 중심으로
- 자율운항선박의 상사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 감항능력주의의무를 중심으로
- 국제해양법상 소형모듈형원자로의 해양 이용에 관한 쟁점 연구
- 해양을 기반으로 한 탄소흡수원의 현황과 국제레짐: 블루카본을 중심으로
- 한·일 도선 법제와 도선사의 민사책임 비교 연구
- 무인잠수항행기기의 선박성에 관한 법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