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10.18649/jkees.2025.24.2.157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천혁진(Hyeok-Jin Cheon)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24권 2호, 157~18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pre-service secondary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teaching practicum, exploring opportunities to understand and practice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factors related to generative AI utilization. Its aims are to identify whether current teacher training programs adequately prepare pre-service teachers for contemporary educational challenges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teacher education models. Sixteen fourth-year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fter completing their four-week teaching practicum.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while qualitative data supplemented the statistical findings. Results indicate that opportunities for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nd implement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were perceived as limited. Regarding generative AI, the majority use AI services like ChatGPT to support lesson planning and material development, reporting high satisfaction due to immediate feedback and creative suggestions. This study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enhancing practicum guidance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integrating structured AI training to effectively prepare pre-service teachers for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s.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문화패턴 기반 언어·문화 통합교육 방안 연구
- A Qualitative Needs Analysi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Athletes’ English Use
- 초등학교 영어과 5~6학년군 수행평가 문항 타당도 검토를 위한 루브릭 개발 및 적용
- 대학생 학습자의 영어 성취 구조 모형 분석: 대면과 비대면 수업 환경 비교
- 교육실습에 대한 중등 예비 영어교사 인식: 역량 교육 및 생성형 AI 활용을 중심으로
- DDL(Data-Driven Learning)을 적용한 초등 영어 찬트 수업 효과
-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Newspaper-Based Instruction on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in Korean EFL Contexts: A Meta-analysis
참고문헌
-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부
- 교육부
- 교육부
- 교육부
- 창의정보문화연구
- 교과교육학연구
- 교사교육 연구
- 영어영문학21
-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 교육과정연구
- 교육아카데미
- 교과교육학연구
- 교과교육학연구
- 교육과정연구
- 교육문화연구
- 문화기술의 융합
- 교육혁신연구
- 비교교육연구
- 외국어교육연구
- 영어교과교육
- 영어교과교육
- 영어영문학21
- 영어영문학연구
- 영어영문학연구
-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 영어어문교육
- 영어평가
- Journal of AI
- Frontiers in Computing and Intelligent Systems
- Language Education and Acquisition Research Network Journal
- Studie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 Journal of Language Sciences
- Studies in British and American Language and Literature
- OECD Publishing
- OECD Publishing
- Asia-Pacif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 System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