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integrated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based on cultural pattern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English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상훈(Sanghun Kim) 김경한(Kyonghahn Kim)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24권 2호, 53~8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n approach to integrated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2022 revised English curriculum. An analysis of the 2022 revised English curriculum was conducted, focusing on its content framework of language and context. In concert with this, the current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was examined to compare how the concepts of language and context are represented under both the 2015 and 2022 revised English curricula. Through this comparative analysis, the structural differences in how each curriculum organizes language and context were identifed. Based on this data, the content framework of the 2022 revised English curriculum was reorganized to reflect cultural patterns. The reorganized content framework was then reviewed by ten in-service English teachers and found to be valid. Learning materials that were developed from the reorganized framework were applied to fifteen middle school students enrolled in a school English club to check the field applicability. Through the application several things were noticed. First, students’ intercultural sensitivity improved in the post-test they were given, compared to the pre-test. Second, in post-activity student response forms, student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engagement in cultural relevance, indicating that they developed the ability to integrate language and cul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was enhanced, confirming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content framework.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문화패턴 기반 언어·문화 통합교육 방안 연구
- A Qualitative Needs Analysi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Athletes’ English Use
- 초등학교 영어과 5~6학년군 수행평가 문항 타당도 검토를 위한 루브릭 개발 및 적용
- 대학생 학습자의 영어 성취 구조 모형 분석: 대면과 비대면 수업 환경 비교
- 교육실습에 대한 중등 예비 영어교사 인식: 역량 교육 및 생성형 AI 활용을 중심으로
- DDL(Data-Driven Learning)을 적용한 초등 영어 찬트 수업 효과
-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Newspaper-Based Instruction on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in Korean EFL Contexts: A Meta-analysi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