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급 성인 학습자의 영어학습에 있어서 ChatGPT 또는 원어민 화자의 피드백 효과 및 인식 비교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Feedback from ChatGPT or Native Speakers of English on Low English Proficient Adult Learners.
발행기관
한국영미어문학회
저자명
구경연(Keongyeun Ku) 박분주(Boonjoo Park)
간행물 정보
『영미어문학』제157호, 177~19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성형 AI인 ChatGPT와 원어민(NS)이 제공하는 피드백이 낮은 영어 능력(TOEIC 450점 미만)을 가진 성인 학습자들의 영어 문법 능력 향상 및 피드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습니다. D광역시 소재 대학원생 39명(실험반 ChatGPT 그룹 19명, 통제반 원어민 그룹 20명)을 대상으로 6주간 피드백 활동을 진행했으며, 이 중 27명의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연구 도구로 Google Sheets를 활용하여 피드백을 공유했으며, 비모수 통계 분석(Mann-Whitney U 검정, Wilcoxon Signed Rank 검정)을 사용했습니다. 분석 결과, 사전 및 사후 검사에서 두 그룹 간 영어 문법 능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두 그룹 모두 사후검사 평균이 향상되었으나, 그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습니다. 설문조사를 통한 피드백 인식 분석 결과, ChatGPT 그룹은 영어 작문 불안감 감소와 즉각적인 피드백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나, 피드백 정확성과 설명 부족에 대한 우려를 표했습니다. 반면, 원어민 피드백 그룹은 문법 교정, 학습 기회, 문장 구성 통찰력에 만족하며 일대일 멘토링 같다고 언급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양적 분석에서는 두 피드백 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습자들은 두 방식 모두 의미 있는 활동으로 인식했습니다. ChatGPT는 불안감 감소와 즉시성에 강점이 있었고, 원어민 피드백은 명확성과 문법 교육 측면에서 높이 평가되었습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feedback provided by the generative AI ChatGPT versus native speakers (NS) on the improvement of English grammar skills and feedback perception among adult learners with low English proficiency (TOEIC scores below 450). Thirty-nine graduate students (19 in the experimental ChatGPT group, 20 in the control native speaker group) from a university in D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a 6-week feedback activity, with data from 27 participants analyzed. Google Sheets was used to share feedback, and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es (Mann-Whitney U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were employed. The analysis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nglish grammar proficiency between the two groups in either pre- or post-tests. Although both groups showed improved mean scores on the post-test, the extent of improv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alysis of feedback perception through surveys indicated that the ChatGPT group positively evaluated the reduction in English writing anxiety and immediate feedback, but expressed concerns about feedback accuracy and lack of explanation. Conversely, the native speaker feedback group expressed satisfaction with grammar correction, learning opportunities, and insights into sentence structure, likening the experience to one-on-one mentoring. In conclusion, while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feedback types regarding grammar improvement, learners perceived both methods as meaningful activities. ChatGPT had strengths in reducing anxiety and providing immediacy, while native speaker feedback was highly valued for its clarity and grammatical instruction.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분석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및 논의
5. 결론
인용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경연(Keongyeun Ku),박분주(Boonjoo Park). (2025).초급 성인 학습자의 영어학습에 있어서 ChatGPT 또는 원어민 화자의 피드백 효과 및 인식 비교 연구. 영미어문학, (), 177-196

MLA

구경연(Keongyeun Ku),박분주(Boonjoo Park). "초급 성인 학습자의 영어학습에 있어서 ChatGPT 또는 원어민 화자의 피드백 효과 및 인식 비교 연구." 영미어문학, (2025): 177-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