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systemic racism and gender violence in Colleen Murphy’s Pig Girl.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김정원(Jungwon Kim)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제157호, 67~8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충격적인 로버트 픽턴(Robert Pickton) 사건을 바탕으로 한 콜린 머피(Colleen Murphy)의 2015년 희곡 『피그 걸(Pig Girl)』을 하나의 연극적 저항이자 윤리적 서사로 분석한다. 머피는 가해자를 중심에 두는 기존의 관습을 거부하고, 원주민 여성 피해자들의 목소리와 고통을 이야기의 중심에 배치함으로써 전통적인 범죄 서사에서 흔히 나타나는 폭력의 선정적 소비를 비판한다. ‘죽어가는 여자(Dying Woman)’로 불리는 인물의 고문과 살해 장면은 강렬한 감정적 충격을 주며 인간 존엄성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성찰을 촉구한다. Pig Girl은 단순한 사건 재현을 넘어, 식민주의, 여성혐오, 제도적 방임 등 구조적 폭력을 비판하는 연극적 담론으로 기능한다. 본 연구는 캐나다 사회에 뿌리내린 식민지 유산과 체계적 인종차별을 고찰하고, 피해자들의 원주민 정체성이 갖는 정치적 의미를 분석한다. 아울러 픽턴 사건의 개요와 그를 둘러싼 사회 및 제도적 무관심을 검토하며, Pig Girl이 예술적 재구성을 통해 사회적 불평등과 성별 기반 폭력 문제를 어떻게 조명하는지를 살펴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Colleen Murphy’s 2015 play Pig Girl, based on the shocking Robert Pickton case, as an act of theatrical resistance and ethical narrative. Rejecting the convention of centering the perpetrator, Murphy places the voices and suffering of Indigenous female victims at the heart of the narrative, thereby challenging the sensationalist consumption of violence typical in traditional crime narratives. The harrowing depiction of the torture and murder of a character referred to only as the “Dying Woman” delivers a powerful emotional impact, prompting reflection on human dign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Pig Girl functions a not merely as a dramatization of real events but as a theatrical discourse that critiques structural violence including colonialism, misogyny, and institutional neglect. This study explores the colonial legacy and systemic racism in Canadian society and examines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the victims’ Indigenous identities. It also investigates the outline of the Pickton case and the surrounding social and institutional indifference, analyzing how Pig Girl, as an artistic reconstruction of the event, sheds light on social inequality and gender-based violence.
목차
1. 서론
2. 역사적, 사회적 맥락으로써 캐나다의 인종차별
3. 픽턴 사건의 개요와 사회적 반응
4. 젠더 폭력과 『피그 걸』
5. 결론
인용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스트휴먼 신체의 인간의 조건: 무어 래퍼티의 『식스웨이크』
- Nathaniel Hawthorne’s Evocation to Wonder in A Wonder Book for Girls and Boys
- 콜린 머피의『피그 걸』에 나타난 조직적 인종차별과 젠더 폭력에 대한 연구
- 초급 성인 학습자의 영어학습에 있어서 ChatGPT 또는 원어민 화자의 피드백 효과 및 인식 비교 연구
- Vocabulary Enhancement in University English Classes through Gamification: Affective Experience Comparison
- 루시 커크우드의 『아이들』: 미래를 위한 두려움과 책임
- Synthesizing the Evidence: A Meta-Analysis of Key Themes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필립 K. 딕의 『스캐너 다클리』에 나타난 중독, 감시, 그리고 자아 붕괴 양상 탐구
- The ethics of ontological relationality and becoming-plant of nonhuman beings in Virginia Woolf’s “The Plumage Bill” and Mrs. Dalloway
- 『에드워드 2세』에 나타난 모순과 변증법
- Confucian Ethics and Clone Narratives: Fate and Resistance in Never Let Me Go and Waste Tide
- 야엘 파버의 증언 연극에 재현된 역사적 트라우마와 문화적 치유: 『기다리는 여자』를 중심으로
- 성별과 연령이 영어 부정극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한국 중등학생 대상으로
- Awakening the Political Body: Affective Strategies in Ivo van Hove’s A View from the Bridge
- 『플로스 강의 물방앗간』에 나타난 여성의 탈주 욕망과 반(反)성장 서사 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포스트휴먼 신체의 인간의 조건: 무어 래퍼티의 『식스웨이크』
- Nathaniel Hawthorne’s Evocation to Wonder in A Wonder Book for Girls and Boys
- 콜린 머피의『피그 걸』에 나타난 조직적 인종차별과 젠더 폭력에 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