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ri Lankan Talpat Tradition: Traditional Approach and Its Implications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저자명
- 레브파고다사라나시하(Rev Pagoda Saranasheeha) 김경래(Kyungrae Kim)
- 간행물 정보
- 『보조사상』第72輯, 67~9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탈팟(Talpat: 야자수 잎사귀)’으로 불리는 스리랑카 패엽경 전통에 대해 살펴보았다. 탈팟 전통은 스리랑카 내부에서도 일부 전문가들에 의해서만 전승되고 있고, 그 전통적인 제작과정도 점차 축소되거나 간소화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작과정은 스리랑카 불교의 의례적인 측면에서나 민간 신앙의 관점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아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을 확인하기 위해 스리랑카 내부에서만 전승되고 있는 패엽경 제작과정 및 필사본의 구조와 특징 등에 대해 현지 자료 및 조사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탈팟 제작과정은 먼저 야자수 잎을 채집하고 가공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지정된 날짜에 제한된 야자수 잎만을 가공하는 이 작업은 자연을 존중하고 그 안에 깃든 나무의 신들을 신앙하는 고대 스리랑카 인들의 정서가 투영된 일종의 종교의식이다. 채집된 잎사귀들을 다양한 약재와 함께 넣고 끓인 후 건조시키고 규격화된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은 향후 불교경전이 될 필사본을 안전하게 보존하고 전승하려는 바람이 담겨 있으며, 더불어 고대 스리랑카의 발전된 경전제작 수준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가 된다. 가공된 야자수 잎에 필사하는 작업은 일정 기간의 교육과정을 거친 숙련된 전문가들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특히 탈팟 전통은 여타의 패엽경 전통과 달리 스리랑카 고유의 문자 형태를 지니고 있는데, 이는 필사자에 따라, 그리고 제작 지역 및 필사본의 종류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필사된 글자들을 돋보이게 하는 채색작업과 마무리 작업들이 전통적인 예법과 절차에 따라 이어지게 된다. 현대 사회의 발달된 인쇄술과는 별도로, 이러한 탈팟 전통에 대한 이해는 스리랑카 고유의 불교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식이 되어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nalyses the Sri Lankan Palm-leaf Manuscript tradition called Talpat. Within Sri Lanka, the Talpat tradition has been preserved by a limited number of experts, while the traditional production process is gradually diminishing or undergoing simplification. However, this production process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both in the ritual aspect of Sri Lankan Buddhism and in terms of folk beliefs or worships. This paper examines in detail through local data and researche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nuscript production process whoch have been handed down only inside Sri Lanka. The process of making Talpat begins with collecting and processing palm leaves. This process only limited palm leaves on a designated date is a kind of religious ceremony that reflects the religious life of ancient Sri Lankans who respect nature and believe in the gods of the trees in them. The process of putting the collected leaves together with various medicinal ingredients, boiling, drying and cutting them into standard sizes contains the desire to safely preserve and transmit the manuscript, which will become a Buddhist script in the future, and is also a very example of the advanced scientific level of ancient Sri Lanka. Transcribing on those processed palm leaves is done only by experienced professionals who have gone through a certain period of education. In particular, the Talpat tradition has various unique letter-forms (Akshara), which seems to have been selected according to the scribe and the region of production and the type of manuscript. After that, the coloring and finishing works that make the transcribed letters stand out will be followed by traditional rituals and procedures. Apart from the advanced printing techniques of modern society, this understanding of the Talpat tradition provides a new approach to understanding Sri Lankan unique Buddhist culture.
목차
Ⅰ. 서론
Ⅱ. 야자수 잎 제작과정
Ⅲ. 필사과정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빠알리 주석서(Pāli-aṭṭhakathā)의 해석과 방법 - anassuṃ의 용례와 주석을 중심으로
- 曇延『大乘起信論義疏』現行テクストの成立過程について
- 진억(津億)의 수정결사 재고 - ‘역사-비교 방법론’에 기반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