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성 차나무의 생태적 특성과 차산업 융복합 활성화 전략

이용수  21

영문명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Boseong Tea Trees and Activation Strategies for Convergence in the Tea Industry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손연지(Yeon-ji Son)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68집, 113~14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성 지역 전통 재래 차나무의 생육 특성과 생태적 적응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해당 품종의 유전적 가치, 지역성과 문화성,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다각도로 고찰하였다. 특히 보성 차밭이 일본계 외래품종 중심이라는 기존의 인식에 문제를 제기하며, 지역 고유 품종의 분포 현황과 활용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2023년 보성군 관내 1,453필지, 770.6헥타르 규모의 차밭을 대상으로 품종, 식재 시기, 경사 형태, 재배방식 등을 조사한 결과, 재래종은 지역 환경에 대한 뛰어난 적응성뿐 아니라 병해충 저항성과 생리적 안정성, 다양한 관능 특성을 갖추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경사지에 형성된 전통 계단식 차밭은 현대 산업농업의 관점에서는 비효율적으로 인식되지만, 유기농 기반의 지속가능한 재배방식과 감성소비, 전통 제다 방식, 치유농업과의 연계를 통해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보성 차밭이 단순한 생산 공간을 넘어 생태·경관·문화가 융합된 농업유산 모델로 전환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보성 전통 차산업의 지속가능성과 지역자원의 통합적 활용 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Boseong is widely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region for Korea's tea industry, yet it has long been misunderstood as relying predominantly on foreign cultivars. This study challenges that perception by empirically examining the ecological and agricultural value of traditional native tea tree varieties cultivated in the region. Drawing upon administrative statistical data from the Boseong County Office as of late 2023 and field surveys conducted by the researcher, the study analyzed 1,453 tea field parcels (totaling 770.6 hectares) in terms of cultivation type, land use designation, topography, and varietal composition. The findings reveal that traditional tea fields in Boseong are primarily located on sloped or terraced terrains—distinct from the flatland industrial tea plantations—and are predominantly composed of native landraces that have adapted to the region’s unique ecological conditions. These traditional cultivars demonstrate superior resistance to pests and climatic fluctuations, as well as physiological diversity, highlighting their potential for integration with organic farming, traditional processing, and therapeutic agriculture. The study positions Boseong's tea fields not merely as economic production sites but as agro-cultural heritage assets, and it argues for policy frameworks that incorporate their ecological, historical, and multifunctional values. By doing so, this research contributes a foundation for redefining the strategic direction of the tea industry in Boseong, balancing tradition and innovation for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차나무 품종 특성과 생태적 적응력
Ⅲ. 차나무 품종의 가치와 활용 가능성
Ⅳ. 보성전통차 산업의 융복합 활성화 전략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연지(Yeon-ji Son). (2025).보성 차나무의 생태적 특성과 차산업 융복합 활성화 전략. 차문화산업학, (), 113-144

MLA

손연지(Yeon-ji Son). "보성 차나무의 생태적 특성과 차산업 융복합 활성화 전략." 차문화산업학, (2025): 113-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