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spects of accepting the theory of Taoism nurtuing in Dabu written by Hanjae
- 발행기관
- 국제차문화학회
- 저자명
- 김지현(Ji-hyun Kim) 홍석환(Suk-hwan Hong) 이병인(Pyong-in Yi)
- 간행물 정보
- 『차문화산업학』제68집, 55~8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재 이목의 「다부」는 유교적 철학 외에 도가의 신선사상 및 양생론을 적극 추가함으로써 독창적이고 심오한 다도 철학을 선보인 글이다. 한재가 활동하던 조선전기에는 의료기관의 미비 등으로 식자들이 자체적으로 의학에 관심을 두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었으며, 이로써 도가 양생론이 사회 전반에 전파될 하나의 여건이 조성되어 있었다. 특히 허령을 통한 심재의 도달을 목표로 하는 도가의 양생론은 유학자들에게는 유교의 양심과 흡사한 것으로 여겨져 큰 거부감 없이 수용되었다. 유학자로서 양심에 치중했던 한재는 다른 한편으로는 도가의 허령과 심재에도 심취함으로써 차와 마음의 관계에 대해 특별하고도 깊이 있게 천착하였고, 그 결과 물질로서의 차와 정신으로서의 차가 음다인의 마음 안에서 완전히 하나로 합일되는 ‘오심지차의 경지를 드러낼 수 있었다. 이는 유학자 한재가 도가 양생론과 신선사상 등에 대하여 배타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그 가치를 적극 발굴하고 수용하고자 하는 열린 태도를 지녔기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addition to Confucian philosophy & 'Dabu' of Han Jae's interest, the dabu of Han Jae showed a unique and profound philosophy of tea ceremony by actively adding Taoism's new ideology and nurtui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en Han Jae was active, the lack of medical institutions forced people to pay attention to medicine on their own, and a condition was created for the propagation of the theory of health care by the province throughout society. In particular, the theory of health care in the province, which aims to reach the mind through the spirit of spirit, was regarded as similar to Confucian conscience by Confucian scholars, and was accepted without much resistance. Han Jae, who focused on conscience as a Confucian scholar, was immersed in the spirit and mind of Taoism on the other hand, and as a result, the difference as a material and the difference as a spirit were completely unified within the mind of the two people. It is believed that this was possible because Han Jae, a Confucian scholar, had an open attitude to actively discover and accept the value of the Confucian philosophy, away from an exclusive attitude toward the theory of health care and the new ideology.
목차
Ⅰ. 서 론
Ⅱ. 조선전기 도가 양생론의 전개 양상
Ⅲ. 한재 『다부(茶賦)』에 보이는 양생론의 특징
Ⅳ.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글로벌응용인문학연구 제3권 2호 목차
- 한 여성의 사계절, 한 시대의 기억: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생애서사와 문화인류학적 상상력
- 종교의 극단, 정치의 극단: 현상과 영향에 대한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