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act of Policy Support for Innovative Products on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한국구매조달학회
- 저자명
- 박찬황(Chanwha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구매조달학회지』제24권 제1호, 143~15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혁신제품 지정이 기업의 매출에 미치는 동시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표본은 지정기업 48개사의 연도별 재무자료로 구성된 기업-연도 관측치 244개이며, 모든 변수는 결측 없이 0 초과 관측치만 포함하였다. OLS 추정과 함께 이분산-강건(HC1) 및 기업단위 클러스터-강건 표준오차를 병기하였다. 다중공선성은 평균 VIF≈2.53, 최대 VIF≈3.15로 양호하였다. 기준모형의 적합도는 R²=0.322, Adj. R²=0.308으로 나타났다. 추정 결과, ATO는 양(+)의 계수이며 클러스터-강건 p=0.000332로 강하게 유의하였다. EquityRatio(양(+))와 CapIntensity(음(−))는 각각 p=0.0522, p=0.0678로 10% 수준의 경계 유의, 반면 ROA와 ROS는 동시점에서 유의하지 않았다(각 p=0.398, 0.480). 결과적으로 혁신제품 지정기업의 매출 규모는 동시점에 자산 활용 효율(ATO)과 더 밀접히 연동되는 반면, 수익성 비율(ROA/ROS)은 본 설정에서 직접적 설명력이 제한적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simultaneous correlation between innovative product designation and corporate sales. The sample consisted of 244 firm-year observations, each consisting of annual financial data from 48 designated firms. All variables included only observations with a value greater than 0 and no missing values. OLS estimation was performed with heteroscedasticity-robust (HC1) and firm-level cluster-robust standard errors. Multicollinearity was satisfactory, with an average VIF ≈ 2.53 and a maximum VIF ≈ 3.15. The goodness-of-fit of the baseline model was R² = 0.322 and Adj. R² = 0.308.
The estimation results showed that ATO was a positive coefficient and strongly significant with a cluster-robust p = 0.000332. EquityRatio (positive (+)) and CapIntensity (negative (−)) were significant at the 10% level, with p=0.0522 and p=0.0678, respectively. However, ROA and ROS were insignificant at the same time point (p=0.398 and 0.480, respectively). Consequently, this suggests that the sales volume of companies designated as innovative products is more closely linked to asset utilization efficiency (ATO) at the same time point, while the profitability ratio (ROA/ROS) has limited direct explanatory power in this sett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데이터 및 모델
Ⅳ. 분석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청년층 재고용에 공공고용서비스 정책이 미치는 영향
- 아웃소싱, 기업 간 불균등한 이익배분과 임금불평등: 아웃소싱이 어떻게 임금불평등을 초래하는가?
-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24권 제1호 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