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termediary Platform Business Models for Public Procurement Innovation
- 발행기관
- 한국구매조달학회
- 저자명
- 박기곤(Kigo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구매조달학회지』제24권 제1호, 38~58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공조달 시스템의 혁신을 목표로, 중개형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의 적용 가능성과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공공조달은 복잡한 규정과 수작업 중심의 프로세스로 인해 행정 효율성이 저하되고, 정보 비대칭성과 절차의 불투명성으로 인해 공정성이 저해될 가능성이 존재해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전자조달 시스템, 특히 민간의 전자상거래에서 검증된 중개형 플랫폼 모델의 공공 부문 적용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마켓플레이스 형태의 플랫폼을 공공조달에 도입할 경우, 조달 프로세스의 효율성과 투명성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 실증적 검토하였다.
국내 사례로는 조달청이 운영하는 통합 전자조달시스템인 나라장터와 서비스 조달 분야의 확대를 목적으로 최근 도입된 이음장터를 분석하였고, 해외 사례로는 인도의 Government e-Marketplace(GeM) 및 영국의 Digital Marketplace를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플랫폼 기반의 조달 시스템은 입찰 및 계약 절차의 표준화와 자동화를 통해 행정 비용을 절감하고, 모든 거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개 및 축적함으로써 절차의 투명성과 추적 가능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공급자 등록과 입찰 참여의 문턱을 낮추고, 중소기업과 신규 사업자의 참여를 용이하게 만들어 시장 경쟁을 촉진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는 공공조달의 접근성과 공정성 제고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플랫폼 도입에 따른 과제도 확인되었다. 대표적으로는 특정 공급자 또는 플랫폼 운영자가 시장 지배력을 가질 가능성, 플랫폼 시스템의 기술적 안정성과 사이버보안 문제, 전자조달을 뒷받침할 법·제도적 기반 미비, 조달 담당자의 디지털 역량 격차 등이다. 이러한 요소는 플랫폼 도입의 지속가능성과 신뢰성 확보에 있어 주요 장애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조달 혁신을 위한 플랫폼 도입 시 법적·제도적 정비, 단계적 도입 전략, 플랫폼 거버넌스 구축, 사용자 교육 및 인프라 투자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아울러 향후에는 플랫폼 기능의 고도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의 조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개발 등으로 공공조달의 혁신 가능성이 더욱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Abstract: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applying an intermediary platform business model to drive innovation in public procurement systems. Traditional public procurement has often been criticized for inefficiency due to complex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reliance on manual processes, as well as for challenges stemming from information asymmetry and lack of transparency. As a solution,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introducing digital procurement platforms, particularly intermediary models similar to those successfully applied in private-sector marketplaces.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marketplace-style platforms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transparency of public procurement by analyzing representativ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The study examines Korea’s KONEPS (Nara Jangteo), a comprehensive e-procurement system managed by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and the recently launched Eum Marketplace, which targets service-oriented procurement. It also explores the experiences of India’s Government e-Marketplace (GeM) and the UK’s Digital Marketplace. The findings reveal that platform-based procurement significantly reduces administrative costs through process standardization and automation, enhances transparency and traceability via real-time disclosure and accumulation of transaction data, and fosters competition by lowering entry barriers for new and small-scale suppliers. These results point to positive implications for enhancing both accessibility and fairness in the public procurement market.
However, the study also identifies key challenges, including the risk of monopolization, technological vulnerabilities, the lack of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to support e-procurement, and disparities in digital competency among procurement officials. These factors may pose obstacles to sustainable and trustworthy platform implementation.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proposes several policy recommendations: establishing a clear legal foundation, adopting a phased implementation strategy, ensuring robust platform governance, and investing in user education and infrastructure. Furthermore, future innovation in public procurement could be enhanced by integrating AI-driven analytics and data-based decision support systems, expanding the strategic role of digital platforms in government procur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사례 분석 및 기존 연구분석
Ⅳ. 분석 결과
Ⅴ. 정책적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청년층 재고용에 공공고용서비스 정책이 미치는 영향
- 아웃소싱, 기업 간 불균등한 이익배분과 임금불평등: 아웃소싱이 어떻게 임금불평등을 초래하는가?
- 한국구매조달학회지 제24권 제1호 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