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Police Activities on the Collective Efficacy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s of police legitimacy -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나라(Na-Ra Lee) 김승현(Seung-Hy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0권 제1호, 87~10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지역사회 경찰활동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집합효율성에 미치는 경찰활동의 영향을 규명하였다. 지역사회 경찰활동은 단순한 범죄예방을 넘어 지역사회의 범죄대응능력을 총체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찰활동으로부터 지역사회의 비공식적 사회통제가 강화된다면, 지역사회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주민들의 집합효율성이 증가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집합효율성에 대한 경찰효과성과 경찰정당성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경찰정당성에 대한 경찰효과성의 정적인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를 통해 경찰활동을 효과적으로 인식하는 시민에게서 경찰조직의 정당성에 대한 높은 평가를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집합효율성에 대한 경찰효과성과 경찰정당성의 직접적인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경찰효과성과 집합효율성의 관계에서 경찰정당성의 정적인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경찰의 효과적인 범죄예방활동은 경찰조직의 정당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지역주민들의 비공식적 사회통제에 대한 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지역사회 경찰활동 패러다임은 2021년부터 시행된 자치경찰제를 통해 우리 사회 전반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자치경찰이 생활안전, 교통과 같은 민생치안을 활동범위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시민들은 경찰활동의 변화를 직접적으로 체감하고 있다. 경찰활동과 집합효율성의 긍정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범죄예방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여 지역사회 범죄대응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할 것임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olice activities on citizens' perception of collective efficacy based on the community policing paradigm. Municiapal police is known to improve the overall ability of local communities to respond to crimes beyond simple crime prevention. If informal social control in the community is strengthened from police activities,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collective efficacy to actively solve community problems will increase. Therefore, this study predicted that police effectiveness and police legitimacy would improve the perception of collective effica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ositive influence of police effectiveness on police legitim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a high evaluation of the legitimacy of the police organization can be expected from citizens who effectively recognize police activities. Next, the direct influence of police effectiveness and police legitimacy on collective efficacy was confirmed.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e effectiveness and collective efficacy, the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police legitim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effective crime prevention activities by the police can raise awareness of the legitimacy of the police organization and improve the willingness of local residents to informal social control.
The paradigm of local police activities is influencing our society as a whole through the municipal police system that took effect in 2021. In particular, citizens are directly experiencing changes in police activities because the municipal police have public safety as their scope of activities. Based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olice activities and collective efficacy, it is suggested that it will be important to establish and implement effective crime prevention policies to strengthen community crime response cap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정은 시대 북한 정보기구에 관한 고찰
- PSM을 활용한 시민의 자치경찰 인식과 경찰 협력에 관한 연구
- 북한의 대남혁명전략 변화에 대한 연구: 노동당 규약 내용을 중심으로
- 경찰과 시민 간 익명성의 제거가 시민의 반사회적 행위에 미치는 영향
- 집합효율성에 미치는 경찰활동의 영향연구: 경찰정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성폭력 피해경험과 문화수용의 조절효과가 성폭력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북한이탈여성을 중심으로
- 비행청소년의 문제도박 실태 및 특성 유형화 연구
- 민간경비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직무만족 및 직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드론 교육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드론 교육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청소년의 가출 경험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트라이포트 마약탐지 기술-정책 융합 전략
- 중동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 시스템 발전방안 연구 : 드론테러 발생 위험도 평가모델 적용
- 경찰특공대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