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sexual violence victim experi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ultural acceptance on the fear of sexual violence: Focused on North Korean defector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규범(Gyu-Berom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0권 제1호, 71~8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이 북한에서 보다 남한에서 성폭력 피해가 더욱 높음에 따라 북한이탈여성을 대상으로 성폭력 피해경험이 성폭력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북한이탈여성에게 있어서 기존 사회가 아닌 새로운 사회의 정착으로 인해 새로운 사회의 문화수용은 이들이 한국 사회에 대한 정착에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어 한국 사회의 문화수용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가져오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서울 및 경기도 등 수도권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북한이탈여성, 성폭력 피해경험과 성폭력 두려움, 문화수용 등에 있어서 국내외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여성의 성폭력 피해경험은 성폭력 두려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인 성폭력 피해경험에 있어서 한국 사회의 문화수용의 조절효과는 성폭력 두려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북한이탈여성은 새롭게 이주하고 있는 한국 사회의 문화수용이 이들에게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여성의 성폭력 두려움을 감소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victims have an effect on their fear of sexual violence in North Korean refugee women, as North Korean refugee women are more likely to be victims of sexual violence in South Korea than in North Korea. Also, for North Korean refugee women, the cultural acceptance of the new society due to the settlement of a new society rather than the existing society was confirm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m to settle in the Korean socie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North Korean refugee women living in metropolitan areas such as Seoul and Gyeonggi-do. In addition, research questions were set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prior studies on women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experiences of victims of sexual violence, fear of sexual violence, and cultural acceptanc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victim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crease their fear of sexual violence.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cultural acceptance in Korean society in the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increase the fear of sexual violence.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North Korean refugee women had a rather negative effect on the cultural acceptance of the newly migrating South Korean socie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olicy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reduce the fear of sexual violence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정은 시대 북한 정보기구에 관한 고찰
- PSM을 활용한 시민의 자치경찰 인식과 경찰 협력에 관한 연구
- 북한의 대남혁명전략 변화에 대한 연구: 노동당 규약 내용을 중심으로
- 경찰과 시민 간 익명성의 제거가 시민의 반사회적 행위에 미치는 영향
- 집합효율성에 미치는 경찰활동의 영향연구: 경찰정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성폭력 피해경험과 문화수용의 조절효과가 성폭력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북한이탈여성을 중심으로
- 비행청소년의 문제도박 실태 및 특성 유형화 연구
- 민간경비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직무만족 및 직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드론 교육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드론 교육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청소년의 가출 경험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트라이포트 마약탐지 기술-정책 융합 전략
- 중동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 시스템 발전방안 연구 : 드론테러 발생 위험도 평가모델 적용
- 경찰특공대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