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가출 경험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

영문명
The Effect of Youth Runaway Experience on Crime Fear
발행기관
한국치안행정학회
저자명
류용현(Yong-Hyun Ryu) 이창한(Chang-Han Lee)
간행물 정보
『한국치안행정논집』제20권 제1호, 1~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2021년 조사에는 가출 경험이 있는 초(4-6)·중·고등학생의 비율은 3.2%에 달한다. 따라서 가출은 더 이상 개인적 차원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차원의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 가출은 보호의 부재로 범죄에 대한 노출의 증가 및 범죄의 취약성으로 이어진다. 특히 청소년들이 사회화 과정에서 범죄두려움과 같은 요소는 성인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가출 경험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탐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성별을 통제했을 때, 가출 경험이 행동적 범죄두려움, 감정적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친다면, 앞으로 형사사법적 맞춤형 대응책을 마련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청소년 범죄피해 조사 2014년도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전국의 중·고등학생 중 다단계층화군집표집을 사용하여 7,109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방법은 상관관계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청소년의 가출 경험이 범죄두려움에 차이가 있는지와 성별을 통제한 상황에서 가출 경험이 행동적 범죄두려움, 감정적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가출 경험은 행동적 범죄두려움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감정적 범죄두려움과는 상관관계가 있지 않았다. 또한, 성별을 통제했을 때, 가출 경험은 행동적 범죄두려움에 부(-)적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감정적 범죄두려움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 및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in 2021, the percentage of elementary school (4-6),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run away from home reaches 3.2%. Therefore, running away from home should no longer be a problem on a personal level, but on a social level. Runaways lead to increased exposure to crime and vulnerability to crime due to lack of protection. In particular, factors such as fear of crime can affect adulthood as adolescents are socializ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youth's runaway experience on their fear of crime. If the experience of running away from home influences behavioral fear of crime and emotional fear of crime when gender is specifically controlled, we hope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customized measures for criminal justice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7,109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were selected for analysis using the 2014 data from the Youth Crime Victim Survey. Correlation analysis and latitudin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whether the youth's experience of running away from home had a difference in their fear of crime. I checked if it works. The study found that experience of runaway was negatively (-) correlated with behavioral crime fear, but not with emotional crime fear. Furthermore, when controlling for gender, runaway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behavioral crime fear, but not on emotional crime fea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research implications and suggested point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벙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용현(Yong-Hyun Ryu),이창한(Chang-Han Lee). (2023).청소년의 가출 경험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안행정논집, 20 (1), 1-16

MLA

류용현(Yong-Hyun Ryu),이창한(Chang-Han Lee). "청소년의 가출 경험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안행정논집, 20.1(2023): 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