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unterterrorism Measures and Laws for the Prevention of Terrorists’ Use of Hazardous Chemicals as Terror Weapon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윤민우(Min-Woo Yun) 김은영(Eun-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8권 제1호, 137~15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반적으로 테러위협에 대한 대응역량강화는 첫째, 테러위험인물에 대한 탐지와 감시, 둘째, 잠재적 테러공격대상에 대한 보안강화, 셋째, 테러공격발생시 위기대응역량 구축 및 강화, 그리고 넷째, 테러이용수단에 대한 관리개선방안 모색 및 강화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4가지 측면들은 테러대응역량강화를 완성시키는 4개의 축이 된다. 국내 테러이용수단 관리개선방안에 대해 모색해보는 것은 테러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주요한 한 축을 발전시키고 완성해나간다는 측면에서 주요한 의미가있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테러이용수단 가운데 화학물질 관리개선방안에 주목한다. 테러대응역량강화를 위해 국내 테러이용수단에 대한 법제나 관리 실태에 대해 파악하고 문제점을 개선할 것을제안하는 연구를 수행하는 것은 주요한 의미가 있다. 테러이용수단관리의 중요성은 이미 지난 2016 년 제정된 테러방지법 에도 반영되어 있다. 동법에 따라 관계기관의 테러이용수단에 대한 안전관리대책 수립 의무가 규정되고 시행령에서 세부내용이 정해졌다. 그러나 테러이용수단으로서의 화생방물질과 관련된 규정은 더욱 개선 발전할 필요가 있다. 이는 여전히 테러이용수단으로서의 화학물질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만족할만한 법적규정이나 지침이 미흡하며 따라서 관리에도 빈틈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테러이용수단인 화학물질을 관리가 관련 부처의 개별 법률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와 같은 화학물질관리의 입법취지가 안전관리 중심이어서, 테러 예방 및 대응활동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국내의 테러이용수단관련 법률과 관리 실태를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화학물질 관리와 관련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테러이용수단으로 화학물질을 규정하는 현행법률 및 관리 실태의 파악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바탕으로 법률적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Effective counterterrorism measures and laws are enhanced by various elements including effective controling of high risk materials which could be used for s terrorist attack. There are various potentially hazardous high risk materials that could be weaponized by malicious terrorist groups and individuals. It is well known that some high risk materials, such as high risk chemical materials and radioactive materials, could cause uncountable damage to our societies in a deadly way. Therefore, investigating and developing measures and polices specially focused on security enhancement for the high-risk materials could contribute to the security of our society. Thus far, there are still lack of attentions to this subject matter in South Korean society. For example, The existing Terrorism Prevention, rectified in 2016, is still not enough and criticized for its loopholes for the control of high risk chemical materials which are potentially used for terrorists’ attack. Responding to this necessity, this study investigates domestic counterterrorism polices, laws, and practices in terms of controling high risk chemical material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domestic laws and practices managing high risk chemical materials to propose counterterrorism laws and measures that could reduced the risk of certain hazardous chemicals which is potentially used for terrorists’ use. Such legal and policy suggestions are also discussed.
목차
Ⅰ. 머리말
Ⅱ. 테러이용수단으로서의 화학물질에 대한 개념정의 및 문제점
Ⅲ. 화학물질의 취급과 관리실태 및 평가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극단주의 테러 동화현상에 관한 연구: 사이버 매체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학교경찰 평가지표 개발 연구
- 퇴직예정 경찰공무원의 노후준비와 퇴직준비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 경찰공무원의 조직공정성과 상사의 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경찰에 대한 신뢰가 지역 안전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지역 소속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형 자치경찰제도의 도입과정과 내용에 대한 비판적 논의
- 자치경찰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경찰관들의 인식분석
- 자율방범대원 활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청소년의 부모방임 피해가 재산범죄 피해에 미치는 영향
- 테러이용수단으로서의 화학물질 관리현황과 개선방안
- 경찰공무원의 공무상 폭력피해에 대한 보상 강화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트라이포트 마약탐지 기술-정책 융합 전략
- 중동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 시스템 발전방안 연구 : 드론테러 발생 위험도 평가모델 적용
- 경찰특공대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