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Confidence in the Police on Perceived Safet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 Sense of Local Belonging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중곤(Joonggo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8권 제1호, 83~10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찰에 대한 신뢰와 지역 소속감이 지역 안전성 인식에 어떻게 달리 영향을 미치는지살펴보고, 경찰에 대한 신뢰가 지역 안전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지역 소속감이 어떠한 방향으로조절하는지 확인하여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2019년 사회통합실태조사 자료상 8,000명의 전국단위표본을 분석한 바, 경찰에 대한 신뢰와 지역 소속감 모두 지역 안전성 인식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나타내었으나, 지역소속감의 효과값과 설명력이 경찰에 대한 신뢰보다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찰에 대한 신뢰가 지역 안전성 인식에 미치는 정의 효과는 지역소속감이 커질수록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 안전성 인식을 높이기 위해 지역소속감과 같은 지역 애착요인에 더 집중할필요가 있으며, 경찰신뢰도를 제고하여 지역 안전성 인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지역 소속감이 낮은지역에 집중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라는 사실을 말해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 examine how sense of local belonging moderates the effect of confidence in the police on neighborhood perceived safety as well as individual effects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Using the data of the 2019 Social Integration Survey, a nationwide sample of 8,000 people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both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and sense of local belonging.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neighborhood perceived safety, but the effect size and explanatory power of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was much higher than the sense of local belonging. Also, the effect of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on perceived neighborhood safety has been weakened as the sense of local belonging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cusing more on local attachment factors such as sense of local belonging would be efficient to increase perceive safety. Also, in terms of increasing perceived safety, police effort to enhance confidence would be more effective in areas with low sense of local belong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극단주의 테러 동화현상에 관한 연구: 사이버 매체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학교경찰 평가지표 개발 연구
- 퇴직예정 경찰공무원의 노후준비와 퇴직준비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 경찰공무원의 조직공정성과 상사의 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경찰에 대한 신뢰가 지역 안전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지역 소속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형 자치경찰제도의 도입과정과 내용에 대한 비판적 논의
- 자치경찰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경찰관들의 인식분석
- 자율방범대원 활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청소년의 부모방임 피해가 재산범죄 피해에 미치는 영향
- 테러이용수단으로서의 화학물질 관리현황과 개선방안
- 경찰공무원의 공무상 폭력피해에 대한 보상 강화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트라이포트 마약탐지 기술-정책 융합 전략
- 중동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 시스템 발전방안 연구 : 드론테러 발생 위험도 평가모델 적용
- 경찰특공대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