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olice Officers' Perception of Problems in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류준혁(Jun-Hyuk Ryu)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8권 제1호, 123~13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해방 후 미군정부터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 왔지만 결국에는 무산되었다.
2017년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자치경찰제도 도입의 논의가 다시 시작되었다. 2020년 12월 8일마침내 자치경찰제도 도입을 위한 법안이 통과되어 2021년 7월 1일부터 자치경찰제도를 시행하게되었다. 비록 다수의 경찰관이 자치경찰 도입에 반대하였지만, 이미 도입이 결정된 만큼 자치 단점을 잘 보완하고 다양한 문제점에 대해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자치경찰제도에서 경찰관들이 찬성하는 이유와 반대하는 이유에 대해 경험적으로 연구함으로써 현직 경찰관들의 자치경찰제도에서 우려하는 부분에 대해 제시함으로써 자치경찰 도입에 도움을 주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전국 1,227명의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한 회귀분석의 결과 자치경찰제도의 장점을 더 많이 인식하는 경찰관들은 자치경찰제도의 도입에 더욱더 긍정적이지만 자치경찰제도 도입으로 인해 치안유지기능의 약화, 공권력 약화, 공정성과 정치적 중립성 문제, 치안 서비스 인건비의 차이, 부정부패의문제점들에 대해 더 많이 인식하는 경찰관들의 경우에는 자치경찰 제도의 도입에 더욱 부정적인 인식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After liberation, the government has made great efforts to introduc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but it was eventually failed. With the inauguration of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in 2017, discussions on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began again. On December 8, 2020, a bill for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finally passed, and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ill be implemented from July 1, 2021. Although many police officers objected to the introduction of autonomous police, it is necessary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of self-government well and various problems as the introduction has already been decide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helping in the introduction of autonomous police by presenting concerns in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of incumbent police officers by empirically researching the reasons that police officers agree and disagree in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s a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of 1,227 police officers nationwide, police officers who are more aware of the merit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re more positive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Police officers who are more aware of the issues of political neutrality, differences in security service personnel costs, and problems of corruption were found to have more negative perceptions of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자치경찰제도에 관한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극단주의 테러 동화현상에 관한 연구: 사이버 매체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학교경찰 평가지표 개발 연구
- 퇴직예정 경찰공무원의 노후준비와 퇴직준비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 경찰공무원의 조직공정성과 상사의 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경찰에 대한 신뢰가 지역 안전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지역 소속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형 자치경찰제도의 도입과정과 내용에 대한 비판적 논의
- 자치경찰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경찰관들의 인식분석
- 자율방범대원 활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청소년의 부모방임 피해가 재산범죄 피해에 미치는 영향
- 테러이용수단으로서의 화학물질 관리현황과 개선방안
- 경찰공무원의 공무상 폭력피해에 대한 보상 강화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트라이포트 마약탐지 기술-정책 융합 전략
- 중동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 시스템 발전방안 연구 : 드론테러 발생 위험도 평가모델 적용
- 경찰특공대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