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Determinants of Police Officers Suicidal Ideation: Focused on Vulnerability-Stress Model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민흥기(Heung-Ki Min) 정병수(Byung-Soo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7권 제4호, 127~14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살이라는 현상은 우리가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현상 중에서 가장 극단적인 현상일 것이며 이것이 사회 안에 사회인 공무원집단 특히 경찰공무원 집단으로 한정지어 보더라도 병들어 있을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에서 경찰공무원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레스-취약성 모델을 중심으로 경찰공무원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였다.
기존 선행연구들의 한계점으로 제시되었던 연구대상과 범위를 경찰공무원 전체로 확대하여 연구대상에 포함시켰고, 공개된 자료 중 실증적 검증을 위한 가장 최근의 자료인 ‘2013 경찰복지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스트레스와 우울감을 독립변수로, 자살생각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스트레스와 우울감은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경찰공무원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있어 가장 우선시되어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 시사해 준다. 구체적으로 경찰공무원 스스로가 우울감을 가지고 있는 현재의 상태를 개선시키려는 소극적인 의지를 고취시켜야 하며 이에 발맞춰 조직 역시 정책적으로 경직된 조직문화를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또한 경찰 관련 정신건장증진 예산을 점진적으로 늘려가 경찰조직 내의 복지 사각지대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Suicide is the most extreme of the various social phenomena we can experience,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we will be sick even if we limit it to a group of civil servants, especially police officers, within society.
This stud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the idea of suicide of police officers in this background and wante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idea of suicide. Specifically, factors affecting the idea of police officers committing suicide were identified, focusing on stress and vulnerability models.
The scope and scope of the research, which had been suggested as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prior studies, were expanded to include the entire police officers in the study, and the logistic return analysis was conducted by setting stress and depress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uicidal thoughts as subordinate variables by utilizing the latest data for empirical verification among the published data. The analysis shows that stress and depression have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suicidal thoughts.
Based on these findings, it suggests what should be the first priority in solving problems related to police officers' thoughts on suicide. Specifically, police officials themselves should encourage passive willingness to improve the current state of depression, and in line with this, the organization should also move toward easing the policy-tight organizational culture.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welfare blind spots within the police organization by gradually increasing the budget for police-related mental health promo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공무원 자살생각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취약성 모델을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의 CPTED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 드론 테러 위협에 대비한 국가중요시설 방호체계 개선방안 연구: 물리보안 위험평가모형을 중심으로
- 경찰의 공공봉사동기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위계적 조직문화를 조절변수로
- 경찰의 공공봉사동기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위계적 조직문화를 조절변수로
- 4차 산업혁명과 경찰의 조직역량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업무상 긴장요인이 직장폭력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탐정학 연구경향과 특징: KCI에 등재된 학술지를 중심으로
- 공인탐정제도 도입에 대한 경찰관들의 인식 연구
- 치안분야 드론 활용을 위한 규제 개선방안 연구
- 비행청소년에 대한 외출제한명령이 재범에 미치는 영향
- 드론시큐리티 참여학습을 통한 참여자의 학습성과 요인 연구
- 통일대비 남북한 수용자의 형집행법 비교연구: UN 넬슨만델라규칙을 기준으로
- 경찰 조직문화와 감정조절능력을 고려한 경찰 스트레스(PTSD)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
- 북한 치안기관에 대한 고찰: 김정은 집권기 인민보안부의 사회통제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지역축제 행사에서의 경찰 책임 - 경찰법제 및 재난안전법을 중심으로
- 경찰공무원의 역할 모호성이 냉소주의에 미치는 영향 : 직무요구와 탈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규범 수준에 따른 규범적 요인과 시민의 신고 의사 관계 구조 차이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