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on Improvement Measures for Regulations for the Utilization of Drones in the Security Field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민형(Min-Hyung Lee) 김현우(Hyun-Wo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7권 제4호, 199~21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드론 산업의 발달에 따른 규제완화의 시대적 흐름과 조화롭게 사전 예방적 피해구제책을 마련하여야 하며, 드론 산업의 성장에 따른 안전정책을 수립하고, 향후 야기될 수 있는 보안이슈에 대한적절한 해법을 제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드론 산업에 대한 정부정책을 기반으로 드론 관련 치안정책 이슈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정책대안을 제시함을 그 목적으로 하며, 치안분야 드론 활용을 위한 규제개선 요인에관한 적합성 및 중요성 평가에 대하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 을 활용하였다.
치안정책 분야 드론 규제개선 요인의 적합성, 중요성에 관한 델파이 분석 결과 영상정보 및 위치정보 수집·활용 규제 개선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드론 교통관리체계 구축, 드론 사고신고 관리 시스템 구축, 수색·구조 등 공공 서비스 참여 사업자의 비행 특례 확대, 도심 내 드론 비행을 위한 드론 운영기준 마련, 드론 비행정보 시스템 구축, 안티 드론 도입을 위한 제도 마련 등이그 뒤를 이어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경찰 활용적 측면에서 드론에 의한 범죄예방과 교통관제 및 법위반 증거 수집 등 법적 한계에 관한 규제 개선요인의 중요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활용을 위한 제도적 인프라 개선이 선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정책 반영에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법집행기관 및 관련 보안기관의 안티 드론 작용이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위한규제 개편이 요구된다. 또한 드론 범죄 및 사생활 침해와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한 입법론적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Proactive damage remedies must be prepared in harmony with the trend of the era of deregulation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the drone industry, and safety policies must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drone industry. In addition, appropriate solutions to security issues that may arise in the future must be presented.
To this 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drone-related security policy issues based on the government policy for the drone industry, and to present policy alternatives. And, the Delphi technique was used to collect opinions of experts on the evaluation of the suitability and importance of regulatory improvement factors for the use of drones in the security field.
As a result of Delphi analysis on the suitability and importance of drone regulation improvement factors in the field of security policy,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regulation of collecting and using video and location information was the most important. And expansion of flight special cases for public service providers, establishment of drone operation standards for drone flight in the city, establishment of a drone flight information system, and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introducing anti-drones were followed.
In terms of police utiliza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factors for improving regulations on legal limits such as crime prevention by drones, traffic control and evidence collection of law violations are very important, and improvement of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for actual utilization should be prioritized to reflect in the polic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anti-drone action of law enforcement agencies and related security agencies will be activated, and regulatory reforms for that purpose are required. In addition, legislative discussions will continue to prevent and respond to drone crimes, privacy breaches and safety acci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방법 및 논의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공무원 자살생각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취약성 모델을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의 CPTED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 드론 테러 위협에 대비한 국가중요시설 방호체계 개선방안 연구: 물리보안 위험평가모형을 중심으로
- 경찰의 공공봉사동기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위계적 조직문화를 조절변수로
- 경찰의 공공봉사동기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위계적 조직문화를 조절변수로
- 4차 산업혁명과 경찰의 조직역량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업무상 긴장요인이 직장폭력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탐정학 연구경향과 특징: KCI에 등재된 학술지를 중심으로
- 공인탐정제도 도입에 대한 경찰관들의 인식 연구
- 치안분야 드론 활용을 위한 규제 개선방안 연구
- 비행청소년에 대한 외출제한명령이 재범에 미치는 영향
- 드론시큐리티 참여학습을 통한 참여자의 학습성과 요인 연구
- 통일대비 남북한 수용자의 형집행법 비교연구: UN 넬슨만델라규칙을 기준으로
- 경찰 조직문화와 감정조절능력을 고려한 경찰 스트레스(PTSD)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
- 북한 치안기관에 대한 고찰: 김정은 집권기 인민보안부의 사회통제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지역축제 행사에서의 경찰 책임 - 경찰법제 및 재난안전법을 중심으로
- 경찰공무원의 역할 모호성이 냉소주의에 미치는 영향 : 직무요구와 탈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규범 수준에 따른 규범적 요인과 시민의 신고 의사 관계 구조 차이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