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Working Strain Factors on the Perception of Workplace Violence among Police Officer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재경(Jae-Kyeo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7권 제4호, 87~10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찰업무의 특성은 경찰을 항상 긴장상태에 놓이게 하며, 이러한 긴장은 경찰의 업무수행 전반에걸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한다. 경찰조직의 긴장된 업무분위기는 주변 동료경찰관들에게 부정적 감정으로 표출될 가능성이 크며, 특히 폭력행위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기존 연구자들의 주장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긴장요인이 직장폭력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적절한 제고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서울지역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521명이 확보되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경찰공무원의 언어폭력 수용태도에는 직무소진의 하위요인인 직업효능감 감소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따돌림 수용태도에는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역할갈등, 역할모호와 직무소진위 하위요인인 직업효능감 감소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찰공무원이 조직 내에서 상응하는 역할 사이의 갈등이 높을수록, 자신의 업무역할을 명확하게 인식할수록, 직무수행에 있어 더 이상의 효율성이 없다고 느낄수록 조직구성원에 대한 따돌림을 수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직업효능감 감소 요인은 언어폭력 및 따돌림 수용태도 모두에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직 관리적 차원의 제고방안으로 선후배 간 의사소통, 직무수행에 따른 고충 공유, 직무를 통해 스트레스 및 소진을 경험하는경찰 개인에 대한 교육·상담 프로그램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olice work always state of strain and strain makes the police react sensitively throughout their work. The strain factors work atmosphere is likely to be expressed with negative feelings toward fellow police officers around him. In particular, the researchers explained that it could develop into violent behavior.
Therefore, to achieve purpose of study, we examine whether the cause of strain factors in police officers effects the perception of workplace violence. And look for appropriate countermeasures. A survey was conducted on police officers in Seoul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The final 521 police officers were secured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only a job efficiency reduction was affected by the perception of verbal violence by police officers. Second, the perception of mobbing was influenced by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job efficiency reduction. In particular, job efficiency reduction factor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level of explanation for both verbal abuse and mobbing percep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ies, it is suggested Communication between seniors and juniors, sharing grievances based on job performance, and providing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for individual police offic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공무원 자살생각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취약성 모델을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의 CPTED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 드론 테러 위협에 대비한 국가중요시설 방호체계 개선방안 연구: 물리보안 위험평가모형을 중심으로
- 경찰의 공공봉사동기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위계적 조직문화를 조절변수로
- 경찰의 공공봉사동기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위계적 조직문화를 조절변수로
- 4차 산업혁명과 경찰의 조직역량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업무상 긴장요인이 직장폭력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탐정학 연구경향과 특징: KCI에 등재된 학술지를 중심으로
- 공인탐정제도 도입에 대한 경찰관들의 인식 연구
- 치안분야 드론 활용을 위한 규제 개선방안 연구
- 비행청소년에 대한 외출제한명령이 재범에 미치는 영향
- 드론시큐리티 참여학습을 통한 참여자의 학습성과 요인 연구
- 통일대비 남북한 수용자의 형집행법 비교연구: UN 넬슨만델라규칙을 기준으로
- 경찰 조직문화와 감정조절능력을 고려한 경찰 스트레스(PTSD)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
- 북한 치안기관에 대한 고찰: 김정은 집권기 인민보안부의 사회통제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지역축제 행사에서의 경찰 책임 - 경찰법제 및 재난안전법을 중심으로
- 경찰공무원의 역할 모호성이 냉소주의에 미치는 영향 : 직무요구와 탈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규범 수준에 따른 규범적 요인과 시민의 신고 의사 관계 구조 차이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