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Learning Performance Factors of Participants through Drone Security Participation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일곤(Il-Go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7권 제4호, 67~8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드론을 활용한 참여학습의 활성화와 안전한 드론 비행이라는 연구테마로 대학에서의‘드론시큐리티 참여학습을 통한 참여자의 학습성과 요인은 어떠한 것인지’에 대하여 고찰한 연구이다. 이에 연구자는 연구의 타당도 확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인 근거이론과 마인드맵 분석을 활용한 다각도 분석법(triangulation) 질적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론 드론을활용한 참여학습 확대 및 제고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구분석 결과로, 연구참여자들의 참여학습에 대한 '학습성과 요인' 대범주는 드론 기술의 이해(2 상위노드, 62.1%)와 드론 비행 법률의 이해(2상위노드, 37.9%)로 범주화되었으며, 드론 기술의 이해의 상위노드는 비행원리 이해(4하위노드, 51.4%), 드론 구성 이해(4하위노드, 48.6%), 드론 비행 법률의 이해의 상위노드는 드론 관련 법 이해(3하위노드, 55.1%), 조종자 준수사항 이해(통합 하위노드, 44.9%)로 범주화가 되었으며, 각 상위노드에 대한 하위노드는 비행원리 이해는 비행작용 힘(38.7%), 작용반작용(29.3%), 비행 특성(22.7%), 비행 종류(9.3%)로, 드론 구성 이해는 드론 형태(46.5%), 드론분류(31.0%), 드론 구조(15.5%), 고도 유형(7.0%)으로, 드론 관련 법 이해는 드론기본법(51.0%), 사용규제법(36.7%), 사생활보호법(12.3%)로, 조종자 준수사항 이해는 상·하위노드 단일의 통합 노드로 범주화되었다.
끝으로 도출된 드론시큐리티 참여학습의 학습성과 요인을 토대로 경찰·경호학 분야에 있어 드론을 활용한 참여학습의 활성화 및 안전한 드론 비행 증진을 위해서는 첫째, 드론을 활용한 참여학습의 확대와 활용역량 증진, 둘째, 드론 기술의 이해 증진, 셋째, 드론 비행 관련 법규에 관한 교육 강화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sidered 'What are the factors of participants' learning performance through drone security participation learning?' awareness of drone flight safety?' at university, with taking the research theme as the participatory learning in drone security and the promotion in recognition of drone flight safety. For this, the researcher carried out a qualitative empirical research using a polygonal analysis method of securing the validity of research through the grounded theory and the mind map analysis, which correspond to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results that were elicited, a plan was discussed about expanding and reinforcing participatory learning with the application of dron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nalysis, the great category relevant to research participants' 'recognition of drone flight safety' was classified into technical understanding(2 upper nodes, 62.1%) and legal understanding(2 upper nodes, 37.9%).
The upper node in technical understanding was divided into flight principle understanding(4 lower nodes, 51.4%) and drone composition understanding(4 lower nodes, 48.6%). The upper node in legal understanding was categorized into the drone-related law understanding(3 lower nodes, 55.1%), and pilot compliance understanding(integrated lower node, 44.9%). As for the lower node on each upper node, the flight principle understanding was divided into flight-action force(38.7%), action & reaction(29.3%), flight characteristic(22.7%) and flight type(9.3%). The drone composition understanding was categorized into drone form(46.5%), drone classification(31.0%), drone structure(15.5%) and altitude type(7.0%). The drone-related law understanding was divided into the Framework Act on drone(51.0%), usage regulation law(36.7%) and privacy protection Act(12.3%). The pilot compliance understanding was categorized as the single integrated node of upper·lower nod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공무원 자살생각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취약성 모델을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의 CPTED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 드론 테러 위협에 대비한 국가중요시설 방호체계 개선방안 연구: 물리보안 위험평가모형을 중심으로
- 경찰의 공공봉사동기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위계적 조직문화를 조절변수로
- 경찰의 공공봉사동기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위계적 조직문화를 조절변수로
- 4차 산업혁명과 경찰의 조직역량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업무상 긴장요인이 직장폭력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탐정학 연구경향과 특징: KCI에 등재된 학술지를 중심으로
- 공인탐정제도 도입에 대한 경찰관들의 인식 연구
- 치안분야 드론 활용을 위한 규제 개선방안 연구
- 비행청소년에 대한 외출제한명령이 재범에 미치는 영향
- 드론시큐리티 참여학습을 통한 참여자의 학습성과 요인 연구
- 통일대비 남북한 수용자의 형집행법 비교연구: UN 넬슨만델라규칙을 기준으로
- 경찰 조직문화와 감정조절능력을 고려한 경찰 스트레스(PTSD)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
- 북한 치안기관에 대한 고찰: 김정은 집권기 인민보안부의 사회통제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지역축제 행사에서의 경찰 책임 - 경찰법제 및 재난안전법을 중심으로
- 경찰공무원의 역할 모호성이 냉소주의에 미치는 영향 : 직무요구와 탈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규범 수준에 따른 규범적 요인과 시민의 신고 의사 관계 구조 차이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