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nsur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K-9(Police Dog) Handler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민철(Min-Chul Kim) 주성빈(Seong-Bhin Joo)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7권 제2호, 51~7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치안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경찰견을 활용한 활동에 대한 관심은 매우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 운영하는 주체인 경찰견 핸들러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 이는 경찰업무 영역 내, 새로운 분야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전문성을 높이는데 저해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경찰공무원 중 경찰견 핸들러의 업무수행 경험을 고찰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방향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경찰견 핸들러에 대한 인식이 낮은 대상자들을 선정하기보다는 실질적으로 그들의 실태와 현황을 파악하고 있는 당사자들의 인식이 중요하다. 따라서이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 방법을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는 대체로 경찰견 핸들러가경찰 조직 내에서도 명확한 정체성을 가지지 못하고 있고, 해외 경찰견 교육 및 전문성을 고려한 대내외적인 전문화된 체계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견 핸들러의 현장 업무수행 경험을 통한 이 연구의 주요 함의점은 첫째, 경찰견 핸들러의 개념 및 역할에 관한 고민을 통해 정체성 확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경찰견 핸들러 교육을 위한전문적 훈련시설, 교육강사 등 선진 외국 교육 프로그램의 검토가 요구된다. 셋째, 경찰견 핸들러의근무환경 및 업무에 대한 인증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이는 경찰견 핸들러에 대한 경과제도를 통해전문성을, 그리고 경찰견과 핸들러의 평가기준을 마련하여 국제적 수준의 인증제도 도입으로 우수한핸들러 양성방안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Recently, interest in using police dogs in providing police services has been growing very much. However,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about the police dog handler who effectively manages and operates it. This can be a weak factor in securing identity and enhancing expertise in new fields within the realm of scientific investigation.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consider the experience of a police dog handler among police officers.
To meet the direction of such research, it is important for the police dog handlers who are actually aware of their status rather than selecting those who are less aware of police dog handlers. Therefore,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police dog handler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lice dog handler generally does not have a clear identity in the police organization and lacks professionalism.
First, the main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rough experience in field work of police dog handler, should be established identity through consideration about the concept and role of police dog handler. Second, it is required to review advanced foreign education programs including professional training facilities and education instructors for education of the police dog handler. Third, certification system about the police dog handler's work environment and work should be introduced. These changes are developing professionalism of police dogs handlers and improving standards for evaluating police dogs and handlers at an international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관의 현장 출입 여부 판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대법원 2019.7.4. 선고 2019도4821 판결을 중심으로
- Herzberg의 동기요인이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 만족도에의 영향요인
- 인터넷 뉴스 기사의 악성 댓글로 인한 명예훼손 피해 방지를 위한 연구
- AI 물리보안 시대 공공 물리보안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제언
- 경찰견 핸들러의 전문성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유럽지역의 최근 극우극단주의 동향과 사회정치적 요인들
- 경찰공무원의 스포츠 동호회 활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경찰조직 내 부서칸막이 인식 연구
- 북한이탈주민의 경찰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테러방지법 입법 추진의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 전략적 관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 나이지리아 범죄조직 국내 활동 실태 및 대응방안
- 충남 지역의 범죄발생과 안전망 실태 분석 - 계룡시, 청양군, 천안시, 태안군을 중심으로
- 자치경찰제의 논의의 검토와 향후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현대사회와 행정 제35권 제3호 목차
- 약자동행 가치 확산을 위한 전략적 정책관리: 약자동행지수의 전략적 활용을 중심으로
- 청년 고용 정책의 정책목표 설계 및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미래내일일경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