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egislative Study onVarious Digital Statement of Evidence: Focusing on Clause 2, Article 313 of Revised Criminal Procedure Law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최용성(Yong-Sung Choi) 곽대훈(Dae-Hoon Kwak)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5권 제3호, 277~29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2016년 05월 29일, 김진태의원이 대표 발의한 형사소송법 일부개정 법률안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상정 및 가결되어 법률 제14179호로 ‘제313조’가 개정되었다. 이번 개정은 종래 서류문서로 된 진술서의 성립의 진정을 작성자의 공판진술에만 인정하고 있던 제1항 ‘본문’에다가 각종 컴퓨터용 디스크,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디지털 진술서를 통상 서류문서의 진술서와 동가치적으로 취급한다는 내용을 괄호 안에 명시하였다. 또한, 각종 디지털 방식으로 작성한 진술서뿐만이 아니라 통상 서류문서로 작성된 진술서에 관해서 그 작성자가 성립의 진정을 ‘부인’하는 경우에도 “과학적 분석결과에 기초한 디지털포렌식 자료 감정 등 객관적인 방법”에 의해 성립의 진정함이 증명되면 그 증거능력을 인정하는 제2항을 개정하여 종래 제1항 ‘본문’의 증거법체계에 획기적인 변화를 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정 제313조는 각종 디지털 진술서에 대한 제1항 본문의 수동적 진술증명 적용대상과 제2항의 능동적 객관적증명 방법 및 그 작성자 특정문제를 둘러싸고 여전히 법 문언(디지털포렌식 자료, 감정 등)상과 판례(대법원 2013.07.26., 2013도2511 등)상의 다툼 및 해석의 여지가 계속 남아있었다. 결국, 여기서 개정 ‘제313조’의 법 문언상과 판례상의 다툼 등을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동조 ‘제2항’의 규정에 “디지털포렌식 감정, 자료, 증언(공소제기 전에 컴퓨터용디스크,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정보저장매체 증거를 수집, 분석, 보관 및 현출업무에 참여한 자의 증언에 한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등 객관적 방법으로 성립의 진정함이 증명되는 때”라는 부분을 추가하는 입법 개정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각종 디지털 진술서에 대한 수동적 진술증명 적용대상과 능동적 객관적증명 방법 및 그 작성자 특정의 입법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인 입법 개정안을 제시하고자, 개정 제313조 제1항의 각종 정보저장매체 내용 및 제2항의 객관적 증거확보 방안 그리고 객관적 증명방법을 차례대로 모색한 뒤, 그에 기한 합리적인 각종 디지털 진술서의 입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as the partial revision of criminal procedure law proposed by 9 national assembly members including Kim Jin-Tae was submitted on May 29, 2016 and passed in Legislation and Judiciary Committee of National Assembly, and Article 313 was revised according to Law No. 14179. The phrase that the digital statement stored in various computer discs and similar data storage media shall be treated equivalently as the conventional statement in written document, was specified in the parenthesis of the text under Clause 1, which has recognized the authenticity of the statement in written document only by the statement of the person who have written the document in the trial. In addition, for the case that the stater may deny the authenticity not only for the statement prepared (provided) in various digital methods but also for the conventional written document, the dramatic change was made for the evidence rule system in the conventional 'text' of Clause 1 by revising 'Clause 2', which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s recognized if the authenticity is proven by “...the objective methods such as digital forensic data examination, etc. based on the scientific analysis results...”. Nevertheless, the revised 'Article 313' still has the room for argument and interpretation in the phrasing of law (digital forensic data, examination, etc) and the judicial precedents (precedent of Supreme Court 2013 DO 2511, etc.) around the subject of passive statement of evidence application in the 'text' of Clause 1 on the various digital statements and active and the objective proving method and the specific issues of its stater in Clause 2.
After all, to put an end to the argument in the legal phrasing and the precedent on the revised 'Article 313', the revision of the law that adds “When the authenticity of formation is proven by the objective methods such as digital forensic examination, data, testimony (limited to the testimony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collecting, analyzing, keeping, presenting (the evidence in the computer discs, video tape, recording tape and other similar data storage media before prosecuting the case...) in the provisions of 'Clause 2' of same article is needed. This article examined the contents of various data storage media in Clause 1, the measures to secure the objective evidence and the objective proving methods in Clause 2 in order, and suggested the rational legislative measures for the various digital 'statements'.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개정 제313조 제2항의 객관적 증거확보 요건
Ⅲ. 개정 제313조 제2항의 객관적 증거확보 요건
Ⅳ. 결론: 합리적 입법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 예방임무용 Anti Drone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지역경찰활동에 대한 주민의 인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각종 디지털 진술증거의 입법론적 고찰: 개정 형사소송법 제313조 제2항을 중심으로
- 경찰행정 경력경쟁채용제도에 관한 연구
- 자치경찰제도에 관한 여론 형성 및언론 보도 내용분석
- 델파이(Delphi) 방법을 통한사법경찰관의 업무과중화 개선방안
- 학교폭력의 영향요인으로서 학생들의 관계성 현황과 역량 진단 및 상관관계 연구
- 전·의경 폐지에 따른 경찰인력 운용방안 연구
- 해외에서의 인질납치 사건에 대한 관리와 위기협상기법
- 4차 산업혁명과 보안 관련 언론보도 태도 연구 : 주제어간 연관관계 분석
- 교통안전정책의 틴팅 규제 딜레마에 관한 연구: 해외사례비교를 중심으로
- 공공부문 종사자의 스포츠활동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112신고내용에 대한텍스트 마이닝 분석과 시사점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현대사회와 행정 제35권 제3호 목차
- 약자동행 가치 확산을 위한 전략적 정책관리: 약자동행지수의 전략적 활용을 중심으로
- 청년 고용 정책의 정책목표 설계 및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미래내일일경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