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Cause and the Countermeasures of Police Officers' Suicide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상균(Sang Gy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5권 제3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의경은 병역의무를 대신하여 경찰의 보조적 임무를 수행하다 전경제도가 폐지됨에 따라 2016년 1월 25일부로 『전투경찰대설치법』이 『의무경찰대설치 및 운영에관한법률』로 개정되었다. 현재 의무경찰로 군복무를 수행하고 있는 인원은 약2만6천명으로 경찰인력의 약 18%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찰의 시위진압 등 치안업무수행에 중요한 보조자원이다.
경찰은 과거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전의경을 경찰관으로 대체하는 사업을 벌여 4만1천여명의 전의경 정원을 2만5천여명으로 감축한 바 있다. 이때 경찰관 기동대요원으로 5천여명을 경찰관으로 대체 증원하였지만 집회·시위 관리에 필요한 기동경찰인력이 충분하다고 볼 수 없는 실정이다. 한편 급변하는 치안환경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적정한 수준의 경찰인력 확보는 반드시 필요하다.
경찰발표에 의하면 2018년도부터 의경감축과 폐지에 따라서 의경이 매년 20%씩 감축하고 이에 따른 대체경찰관으로 매년 2천명씩 증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에 증원하는 경찰인력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할 것인지는 치안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의경 감축 및 폐지에 따라 증원 경찰인력의 효율적인 운용방안을 제시하여 경찰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영문 초록
The Combat Police and the Auxiliary Police carry out the police 's auxiliary duty on behalf of the military service obligation. As the combat police system was abolished, on January 25, 2016, the “Establishment of Riot Police Units Act” was amended to “Law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mandatory police forces.” Currently, about 26,000 people are performing military service with Auxiliary Police. Auxiliary Police account for about 18% of the police,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test and policing. The police replaced the combat police and Auxiliary Police with policemen from 2008 to 2011.
As a result, about 41,000 combat police and Auxiliary Police have been reduced to about 25,000 people. At that time, the Police Squad was increased by 5,000 people, but the Riot Police needed for rallies and demonstrations are not enough. On the other hand,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secure a proper level of police force in order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efficiently.
According to the announcement, Auxiliary Police will cut 20% every year from 2018. As an alternative police officer, he plans to increase the number by 2,000 every yea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tilize the police force efficiently for the efficiency of polic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to efficiently operate the reinforced Police Force according to the reduction and abolition of Auxiliary Police.
목차
Ⅰ. 서론
Ⅱ. 전·의경 폐지와 대체경찰인력 확보의 필요성
Ⅲ. 전·의경 경찰관 대체사업 시행결과
Ⅳ. 전·의경 폐지에 따른 경찰인력 운용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 예방임무용 Anti Drone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지역경찰활동에 대한 주민의 인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각종 디지털 진술증거의 입법론적 고찰: 개정 형사소송법 제313조 제2항을 중심으로
- 경찰행정 경력경쟁채용제도에 관한 연구
- 자치경찰제도에 관한 여론 형성 및언론 보도 내용분석
- 델파이(Delphi) 방법을 통한사법경찰관의 업무과중화 개선방안
- 학교폭력의 영향요인으로서 학생들의 관계성 현황과 역량 진단 및 상관관계 연구
- 전·의경 폐지에 따른 경찰인력 운용방안 연구
- 해외에서의 인질납치 사건에 대한 관리와 위기협상기법
- 4차 산업혁명과 보안 관련 언론보도 태도 연구 : 주제어간 연관관계 분석
- 교통안전정책의 틴팅 규제 딜레마에 관한 연구: 해외사례비교를 중심으로
- 공공부문 종사자의 스포츠활동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112신고내용에 대한텍스트 마이닝 분석과 시사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현대사회와 행정 제35권 제3호 목차
- 약자동행 가치 확산을 위한 전략적 정책관리: 약자동행지수의 전략적 활용을 중심으로
- 청년 고용 정책의 정책목표 설계 및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미래내일일경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