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호원들의 심리극복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n Self-esteem about Psychological Overcoming Program of Bodyguard
발행기관
한국치안행정학회
저자명
김진환(Jin-Hwa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치안행정논집』제10권 제1호, 145~16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5.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심리극복 프로그램이 경호원들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년 이상 경력의 경호원 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독립변인으로 심리극복 프로그램의 3가지 유형을 선정하였다. 심리극복 프로그램의 유형은 신체적 극복기법, 인지적 극복기법, 신체적·인지적 극복기법으로 구분하여 처치하였다. 종속변인은 자아존중감으로 각 검사시기와 사전검사와의 변화량을 3회 반복 측정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사회통계학적 변수들에 대하여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고, 경호원 자아존중감 결과의 변화량 차이를 이원변량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심리극복 프로그램 자아존중감 측정에서 통제 집단을 제외한 심리극복 프로그램 처치를 받은 집단은 사전 검사에 비해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아진 경향을 볼 수 있으며, 특히 신체적 극복집단에서. 사전 자아존중감은 여자가 남자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신체적 극복프로그램 처치 후 1차, 2차, 3차 자아존중감에서 남자보다 높게 자아존중감 수준이 뚜렷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 이원변량 분석결과에서는 1, 2, 3차 검사와 사전검사와의 자아존중감 변화량의 성별, 처치 집단별 차이에서는 모두 동일하게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과 처치 집단은 1, 2, 3차 검사와 사전검사의 변화량에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의 변화량에서 통제집단을 제외한 심리극복 프로그램 처치를 받은 모든 집단이 사전검사보다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신체적·인지적 극복기법 병행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효과가 높은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현장에서 수행하는 경호원들에게 신체적·인지적 극복기법 프로그램을 장기간을 두고 점진적으로 처치 및 훈련을 실시할 때 경호원들의 자아존중감 상승에 의한 경호수행에 매우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influence on the self-esteem of the bodyguards through psychological intervention strategy. also this research is targeting 60 bodyguards who have experienced this kind of career more than 2 years, and they were treated with three types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strategy : physical, cognitive, physical and cognitive intervention strategy. The dependent variable surveyed the test period and the pre-test of self-esteem. Data analysis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was conducted to identit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statistical variables. And through 2-way ANOVA, this research came to a conclusion as below. First, Evaluation of self-esteem about psychological overcoming program related general speciality: Except the controlled group, self-esteem has been increasing through psychological intervention strategy. Especially, the female group showed dramatical improvement than male group after the treatment. Second, Result of self-esteem 2-way ANOVA: changing rate of self-esteem has been shown as similar levels(p<.05) as the pre-test with all the groups.(gender and different treatment)Thus, statistically gender treatment group was found that the changing rate between 1, 2, 3 tests and the pre-test was about p<.05 level. The group that was treated with psychological intervention strategy had a tendency to be increased in self-esteem than pre-test, except controlled group. Especially, physical and cognitive intervention strategy group showed highest level of self esteem. Therefore, psychological intervention strategy for bodyguards has to materialize gradually, not in a short term. And the physical and cognitive intervention strategy should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it influences on improving bodyguard's self -esteem which causes positive impact on bodyguard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가설 및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환(Jin-Hwan Kim). (2013).경호원들의 심리극복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안행정논집, 10 (1), 145-164

MLA

김진환(Jin-Hwan Kim). "경호원들의 심리극복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안행정논집, 10.1(2013): 145-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