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Taser by Police: Focused on Investigation Police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변지희(Ji-Hee Byeun) 김상운(Sang-Woo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0권 제1호, 101~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5.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들어 무동기범죄나 흉기사용범죄, 강력범죄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한국 경찰의 현실은 인권문제, 잦은 민원으로 인한 법정소송 계류 가능성 등의 이유로 경찰장구 사용을 꺼려하고 있는데 이는 결국 시민들의 치안 불안요소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필요 최소한도내에서의 경찰장구 사용은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히 최근 총기 대체장비로 가장 주목받고 있는 테이저 사용과 관련하여 현장 경찰관들의 테이저 사용에 어떠한 요인들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보았다.
연구대상은 위험한 상황 속에서 범인 검거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형사과 소속 강력범죄를 담당하는 수사경찰들로 한정하였으며, 테이저 사용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들로 테이저의 안전성, 민·형사상 소송, 2차 충격, 법률, 매뉴얼, 교육 등 6가지로 선별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테이저의 안전성, 민·형사상 소송, 2차 충격, 매뉴얼은 현장 수사경찰관들의 테이저 사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테이저의 안전성과 민·형사상 소송, 2차 충격은 수사경찰의 테이저 사용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매뉴얼은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사경찰의 테이저 사용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대책 수립이나 보완을 통해, 국민의 인권침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에서 범죄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보호하고 필요 최소한도내에서 테이저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taser was introduced for the police to have ascendancy over the violent criminal into the Korea in 2005. The taser is an electric stun gun which allows police to deal with violent people without causing injury or death.
This paper investigated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taser by police. In pre-scanning step, I selected the factors which are taser's safety, lawsuits, additional impact riskiness, manual, education, and legislation by gathering specialist(panel) opinion on the taser. I conducted a survey with 130 korean investigation police. In turn total 122 pieces of questionnaires were available for the statistical hypothesis testing. All of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bot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test are suggested as follow.
(1) It showed that taser's safety, lawsuits of criminal and civil trial and additional impact riskiness affected the negative use of a taser.
(2) It showed that the manual about the taser affected the positive use of a taser.
Therefore, Korean Police have to consider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a taser like taser's safety, lawsuits, additional impact riskiness and manual to lead a positive attitude of investigation police on the use of a taser. Based this survey, Korean Police will have to compensate the defect of policy on taser. But the use of a taser have to be limited and be used in the emergency situations by minimizing violation of human rights. Consequently, the use of taser should have the preponderant role in guaranteeing public safe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가설검증 및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대군인 교육훈련 성과에 관한 연구: 경비지도사과정 교육을 중심으로
- 해사안전관리 효율화를 위한 조직 기능 수행체계 진단: 해상교통안전 분야를 중심으로
- 경호원들의 심리극복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경찰의 테이저 사용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수사경찰을 중심으로
- 일선 경찰의 행태 및 근무환경에 대한 참여관찰적 연구: Lipsky의 일선관료 이론을 중심으로
- 민간경비산업의 실효적 법개정 사안
- 지역주민들의 경찰정당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외국인 범죄의 실태분석과 미래예측
- 아파트 경비원의 경비업무 수행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 및 만족도
- 대통령 경호 50년의 한계와 반성
- 한국 의료기관의 안전관리체계 구축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현대사회와 행정 제35권 제3호 목차
- 약자동행 가치 확산을 위한 전략적 정책관리: 약자동행지수의 전략적 활용을 중심으로
- 청년 고용 정책의 정책목표 설계 및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미래내일일경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