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articipant Observation Study on Behavior and Working Environment of Street-level Police Officers: Focusing on Lipsky’s Street-level Bureaucracy Model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병섭(Byong-Seob Kim) 박동균(Dong-Kyun Park) 박주상(Ju-Sang Park) 오시영(Si-Young Oh) 이수영(Soo-Yo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0권 제1호,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5.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경찰은 주요 선진국과 비교하여 우수한 경찰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치안 서비스에 대한 인식은 이러한 높은 성과와는 상반되게 상당히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들과 직접 접촉하면서 일선에서 치안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는 우리나라 현장 경찰관에 대해 Lipsky의 일선 관료 이론을 적용하는 시도를 함으로써 일선 경찰관의 근무 환경 및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의 K경찰서, 대구의 S경찰서, 전남의 S경찰서를 연구대상 경찰서로 선정하였고, 경찰의 근무 환경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직접 현장에 장기간 나아가서 연구대상을 관찰하는 방법인 현장 참여관찰법과 심층면접을 주된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파악된 일선 경찰관들이 이야기하는 근무 환경 및 행태에 관한 특성 및 애로 사항은 청사 및 사무실 협소와 시설 부족 문제, 인력 부족과 불명확한 업무 구분으로 인한 담당 사건의 과중 문제, 장비 및 순찰차 개선 문제, 일선 경찰관의 안전 문제, 주기적 야근으로 인한 신체의 피로 등으로 정리가능하다.
본 연구로 파악된 일선 경찰관의 근무 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고민 및 애로 사항에 대한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현장 경찰관의 근무 여건 및 환경에 대한 개선 작업을 진행시켜야 할 것이고, 이러한 변화는 일선 경찰관의 사기 및 자긍심을 증진시켜 결국에는 국민에게 더 나은 치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들 것이다.
영문 초록
Although Korean police provide an excellent policing service compared with developed country, public evaluation of police performance is negative contrary to actual high performance.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analyze working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street-level police officers by attempting to apply Lipsky’s theory on street-level bureaucracy to police officers who deliver policing services by directly interacting with peopl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K police station in Seoul, S police station in Daegu, and S police station in Jeonnam are studied. We use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epth interview as main research method by observing research objects on the spot for a long time to understand working conditions of police in depth.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lluminate problems of working environment and difficulties of street-level police officers: narrowness of office space, shortage of facilities, heavy workload resulting from unclear work scope, manpower shortage, deteriorating equipment and patrol car, fatigue from shift work, and risk factors threatening safety of police officers. By establishing countermeasures to these problems, working conditions for police officers should be improved. The improvement will lead police officers to provide better policing services to public by raising morale and self-esteem of th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Lipsky의 일선 관료 연구
Ⅲ. 연구방법
Ⅳ. 참여관찰을 통한 일선 경찰의 근무환경 특성 분석
V. 결론: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대군인 교육훈련 성과에 관한 연구: 경비지도사과정 교육을 중심으로
- 해사안전관리 효율화를 위한 조직 기능 수행체계 진단: 해상교통안전 분야를 중심으로
- 경호원들의 심리극복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경찰의 테이저 사용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수사경찰을 중심으로
- 일선 경찰의 행태 및 근무환경에 대한 참여관찰적 연구: Lipsky의 일선관료 이론을 중심으로
- 민간경비산업의 실효적 법개정 사안
- 지역주민들의 경찰정당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외국인 범죄의 실태분석과 미래예측
- 아파트 경비원의 경비업무 수행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 및 만족도
- 대통령 경호 50년의 한계와 반성
- 한국 의료기관의 안전관리체계 구축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현대사회와 행정 제35권 제3호 목차
- 약자동행 가치 확산을 위한 전략적 정책관리: 약자동행지수의 전략적 활용을 중심으로
- 청년 고용 정책의 정책목표 설계 및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미래내일일경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