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Military organization in the Koryo Mooshin Government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곽윤길(Yun-Gil Kwak)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7권 제2호, 357~37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려 무신정권 시기 호위조직은 공경호로서 금군, 민간경호로서 도방과 마별초가 존재하였으며 금군은 왕권 강화를 뒷받침하는 군사적, 정치적 기반의 역할을 하였고 도방과 마별초는 집권 무신의 신변보호와 정권유지의 역할을 하였다. 왕실 호위 조직인 금군은 전기 2군 6위와 비교해 볼 때 그 역할이 많이 축소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도방과 마별초가 왕실 경호조직의 약화로 인하여 더욱 강성해졌다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왕실의 권한이 강하면 분권조직인 무신 경호조직이 약화되고 무신 경호조직이 강하면 왕권이 저하되는 관계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즉 중앙 권력이 강화되면 사병조직과 같은 분권화된 조직이 약하게 되고 중앙 권력이 약화되면 분권화 조직이 강해진다는 역사적 사실은 왕실 경호조직과 무신 경호조직이 반비례적인 관계에 있었던 것을 나타내며 이러한 반비례적 관계는 이 두 조직이 상호 견제 및 경쟁관계에 있다는 것을 이러한 결과는 현대의 공경호인 경찰과 민간경호 조직을 상호 보완적, 역할 분담적 관계로 보는 공동화이론과는 상반되는 결과로서 현대 사회보다 정치적인 목적이 조직의 구성과 유지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역사적 배경에 따른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무신정권시기 왕권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사병적 조직 성향이 강한 무신조직이 관여하여 왔지만 민주주의 사회인 현대에는 공경호 조직에 사적인 조직이 관여하는 것은 가장 먼저 배제되어야할 사항이며 국민의 실질적인 안전 보장을 위해 민간 경호 조직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Military organization is the Koryo Mooshin government is Gumgun as a public low enforcement and Dobang & Mabyulcho as a private bodyguard. Gumgun has played a role strengthen royal authority as a base of political and military. Dobang & Mabyulcho has played a role protection and stay in power for person in power. In comparison with 2 Gun 6 Wei, we figure out Gumgun's role is reduction. We can check the weaker royal bodyguard, the more Dobang & Mabyulcho could be stronger. Given those facts, If royal power become weaker, Mooshin bodyguard will have to stronger and if Mooshin bodyguard become weaker, Royal power will have to stronger. In other words, If central power become weaker, private soldier will have to stronger and private soldier will have to weaker, central power will have to stronger. This indicated that Royal bodyguard in inverse proportion to Mooshin bodyguard. The result has contradicted that joint product theory because of the difference that historical background, political purpose make a considerable impact on formation and maintain of group than modern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고려 무신 정권 시기 호위 조직의 형태 및 성격
Ⅳ. 고려시대 공경호와 민간경호의 비교 및 현대 경호 비교
Ⅴ. 결론과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마약류 보호관찰 대상자의 재범요인에 관한 연구 - 위험성ㆍ욕구 요인 도출을 통한 효과적 사회처우 방안모색을 중심으로 -
-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심리적 계약의 유형과 역할내·외 성과의 관계 및 공공서비스동기의 조절효과
- 기계경비원의 신임교육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경찰행정의 쟁점과 발전방향
- 검사의 구형량과 판사의 선고형량 분석 - 차별적 요인 분석
- 민간경비와 경찰의 협력시스템에 관한 연구
- 지역경찰제의 효율적 운영방안 - 파출소 체제를 중심으로
- 고려 무신정권 시기 호위조직 연구
- 고령운전자의 특성분석을 통한 교통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
- 범죄예방을 위한 경찰과 민간경비의 협력방안
- 경호,경비행사시 미스터리 쇼퍼 기법의 적용
- 생화학테러 대응체제 구축방안
-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안전사회 구축을 위한 소방정책의 과제
- 수사경과제의 통합적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현대사회와 행정 제35권 제3호 목차
- 약자동행 가치 확산을 위한 전략적 정책관리: 약자동행지수의 전략적 활용을 중심으로
- 청년 고용 정책의 정책목표 설계 및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미래내일일경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