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ssue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Korean Police administration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정우열(Woo-Yeol Jung) 김용태(Yong-Ta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7권 제2호, 187~21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 경찰행정에 있어서 주요 이슈들을 고찰해 보고 정책과제를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논의의 대상인 경찰행정의 이슈는 경찰행정학을 주된 연구대상으로 하는 4대 학술지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기준을 설정하였다. 한국 경찰행정의 주요 이슈에 대한 분석내용은 수사권조정문제, 경찰조직, 경찰인사, 경찰예산, 경찰복지 등 크게 5개 분야로 대분류하였으며 이를 다시 경찰조직은 전·의경제도의 존폐 문제, 경찰대학 폐지, 지구대, 자치경찰제 등으로 경찰인사는 다면평가와 근속승진으로 중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이슈들에 대한 정책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 수사권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그 전제로 선진 외국과 같이 실질적인 자치경찰제를 통해 경찰의 권한분산이 선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전·의경제도의 존속과 지구대 제도의 획기적 개편 등 경찰조직 개편에 대한 보다 신중한 접근을 통하여 치안정책집행의 오류를 최소화 한다. 셋째, 경찰평가제도와 관련하여 평가자와 평가대상자를 확대실시하고 평가요소를 다양화하며 다면평가의 결과를 적극화하고 평가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넷째, 치안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경찰예산의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당국자의 적극적인 배려가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상경찰관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근무조건 등 경찰복지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issue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Korean police administration. Based on research drawn from four academic journals focused on police administration. Basic analysis of major issues in the Korean police administration are largely categorized by mediation problems of investigation, police organization, personnel matters, budget and welfare of police.
The following are issues regarding the organization of Korean police: Whether Korea should continue or abolish the use of riot and conscripted police, The discontinuation of the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Police precincts, and The possibility of an autonomous police system In regards to police personnel emphasis is placed on the following: Many sided estimation and Continuous service promo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 needs to disperse police authority in order to adjust police investigation through an autonomous police system. Second, Korea should minimize errors of the public order policy execution through cautious approach about continuing the use of riot and conscripted police and reforming the organization of Korean police. Third, Korea should provide an institutional strategy to expand assessors and assessees, diversify estimation element, accept many sided estimations and increase justice and objectivity of estimation in connection with police estimation system. Fourth, policy officials should be considerate of achieving continuous investments to increase quality of public institution services. Lastly, Korea should be concerned about welfare of police such as working conditions to reduce public injury of police.
목차
Ⅰ. 서론
Ⅱ. 자료수집 및 분석기준
Ⅲ. 한국 경찰행정의 이슈
Ⅳ. 한국 경찰행정의 발전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마약류 보호관찰 대상자의 재범요인에 관한 연구 - 위험성ㆍ욕구 요인 도출을 통한 효과적 사회처우 방안모색을 중심으로 -
-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심리적 계약의 유형과 역할내·외 성과의 관계 및 공공서비스동기의 조절효과
- 기계경비원의 신임교육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경찰행정의 쟁점과 발전방향
- 검사의 구형량과 판사의 선고형량 분석 - 차별적 요인 분석
- 민간경비와 경찰의 협력시스템에 관한 연구
- 지역경찰제의 효율적 운영방안 - 파출소 체제를 중심으로
- 고려 무신정권 시기 호위조직 연구
- 고령운전자의 특성분석을 통한 교통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
- 범죄예방을 위한 경찰과 민간경비의 협력방안
- 경호,경비행사시 미스터리 쇼퍼 기법의 적용
- 생화학테러 대응체제 구축방안
-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안전사회 구축을 위한 소방정책의 과제
- 수사경과제의 통합적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현대사회와 행정 제35권 제3호 목차
- 약자동행 가치 확산을 위한 전략적 정책관리: 약자동행지수의 전략적 활용을 중심으로
- 청년 고용 정책의 정책목표 설계 및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미래내일일경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