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hysic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oriented behavior and satisfaction customers according to Korean Ayurveda Psychology Type
- 발행기관
- 한국여가복지경영학회
- 저자명
- 이정옥(Jeong-ok Lee)
- 간행물 정보
- 『여가복지경영연구(여가복지)』제6권 제1호, 93~11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심(心, 심리적), 신(身, 신체적)의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에 따른 뷰티지향행동과 만족도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70대 남녀 41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25.0로 자료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지향행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메이크업 미용, 헤어 미용이 긍정적 대인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뷰티지향행동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신체적 유능감은 헤어미용, 네일미용이 신체적 유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뷰티지향행동과 만족도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분석 중 긍정적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헤어미용, 피부미용, 메이크업미용, 네일미용 관리행동은 긍정적 인간관계에서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 넷째, 뷰티지향행동과 만족도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분석 결과는 신체적 매력감의 매개효과는 헤어미용, 피부미용, 메이크업미용, 네일미용 관리행동은 신체적 매력감에서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뷰티지향행동을 통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상승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자신감 있게 행동하고 훌륭한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강한 신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자신의 욕구나 만족이 개인 성장과 삶의 질을 높인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hysical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oriented behavior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types of Korean Ayurvedic mind and body that can lead a healthy and happy life. The research subjects were 413 men and women in their 20s to 70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beauty-oriented behavior on psychological wellbeing, makeup beauty and hair beau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beauty-oriented behavior on physical self-efficacy, hair beauty and nail beau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hysical competenc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oriented behavior and satisfaction, hair beauty, skin beauty, makeup beauty, and nail beauty management behaviors met the mediating condition i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ur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oriented behavior and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attractiveness satisfied the mediating condition for hair care, skin care, makeup care, and nail care management behavio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rease in physical self-efficacy through beautyoriented behavior means a strong belief that one can act confidently and achieve excellent results in any situation, and that such desires or satisfaction can enhance personal growth and quality of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청년층 재고용에 공공고용서비스 정책이 미치는 영향
- 아웃소싱, 기업 간 불균등한 이익배분과 임금불평등: 아웃소싱이 어떻게 임금불평등을 초래하는가?
- 인공지능 기반 문서처리 서비스 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