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articipatory Premarket Activist A Qualitative Case Study of Mutual Learning Experience
- 발행기관
- 한국여가복지경영학회
- 저자명
- 이영희(Young-Hee Lee) 오민석(Min-Suk O)
- 간행물 정보
- 『여가복지경영연구(여가복지)』제6권 제1호, 33~5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참여형 프리마켓 활동 과정에서 드러난 지역활동가의 상호학습경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에 경기도 오산시에 소재한 ‘고민없이 구경하는 마켓은 단순히 경제적 활동을 넘어 지역활동가 간의 자율적 협력과 공동 기획을 통해 공동체적 배움이 실천되는 학습의 장으로 기능하고 있었다. 연구자는 현장 참여관찰, 면담, 비공식 대화와 문서자료 등을 수집·분석하여 지역활동가의 마켓 운영 과정에서 겪은 협업과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정체성의 변화, 시민적 태도의 성숙, 공동체 소속감 형성에 대한 삶과 경험을 검토하였다. 특히 이 과정은 상호 신뢰·협력 관계, 즉 운명 공동체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상호협동학습의 양상을 잘 보여주었으며, 지역활동가는 지식의 수용자가 아닌 실천적 학습자로 전환되는 경로를 밟고 있었다. 또한, 고구마켓은 활동가들이 상호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협동학습의 토대가 되었으며, 이러한 환경은 공동의 목표 달성을 통해 개인적 성찰과 사회적 성장을 유도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형 프리마켓이 지역 기반 평생학습의 상호학습경험을 통해 참여적 시민 실천의 교육적 가능성을 재조명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case study explores the mutual learning experiences of local participants engaged in the “Gogu Market,”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flea market in Osan City, South Korea. Rather than functioning solely as a space for economic transactions, the market serves as a platform f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collective action among residents, small business owners, and artists.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document analysis, the study reveals how participants experience personal growth, identity transformation, and enhanced civic engagement through informal, practice-based learning.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market operates as a site of mutual cooperative learning, fostering shared responsibility, reflective practices, and social solidarity. Ultimately, Gogu Market exemplifies a lifelong learning community model that contributes to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ivic ecosystems and the educational empowerment of its participa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청년층 재고용에 공공고용서비스 정책이 미치는 영향
- 아웃소싱, 기업 간 불균등한 이익배분과 임금불평등: 아웃소싱이 어떻게 임금불평등을 초래하는가?
- 인공지능 기반 문서처리 서비스 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