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linical and Ca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Killip Clas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ong Emergency Room Patients
- 발행기관
-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웰다잉융합연구소)
- 저자명
- 이세미(Se-Mi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제1권 제1호, 25~5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퇴원한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진료기록 정보를 활용하여 Killip class에 따른 임상 및 진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1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3년 동안 총 347건이 조사되었다. 자료는 SPSS WIN Version 21.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특징 중 하나가 성별로 나타났으며, 여성(103명, 29.7%)보다 남성(244명, 70.3%)이 더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61.1%)이 가장 높았다. 킬립클래스 분포에서는킬립클래스Ⅰ이 다수(76명, 21.9%)보다 높은 수치(271명, 78.1%)를 보였다. 케어 특성에 대한 Killip 클래스, 증상 시작부터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PCI)까지의 시간, 입원 기간, 중환자실에서의 체류 기간은 Killip ClassⅠ보다 Killip ClassⅡ가 더 길었고, 이러한 수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시작부터 문까지 시간에 대한 Killip 클래스에 따르면 성별, 병원도착 방법, 병원 도착 시간 및 진단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응급실에 머무는 기간은 흡연이력, 당뇨병 병력, 병원 도착 시간, 진단, PCI 수행 및 재입원 시 PCI 수행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Killip class와 주요 연구변수 분석의 상관관계 결과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문병 시작시간(r=0.189, p<0.05), 증상발작부터 PCI까지 시간(r=0.189, p<0.01), 입원기간(r=0.199, p<0.01), 중환자실 체류기간(r=0.189, p<0.01)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n. Killip class의 선형회귀분석 결과, 증상발생부터 PCI까지 시간이 1단위 증가함에 따라 Killip class의 rate가 0.0005701배 높게 나타났으며, 이수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위의 결과들은 급성 심근경색 환자들이 가능한 한 빨리 병원을 방문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홍보를 제공할 것을 권고한다. 또한 환자에게적절하고 시기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응급의료체계의 구축도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clinical and ca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Killip class using medical record information of discharged acute myocardial infarction patients in a hospital. During 3 year study, 347 cases were included.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There were more male patients than female(70.3% vs 29.7%)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age group was 60+. According to Killip class for care characteristics, time from symptom onset to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length of hospital stay, length of stay in intensive care unit showed longer Killip class≥Ⅱ than Killip class. Killip class for onset-to-door time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gender, hospital arrival methods, hospital arrival time and diagnosis(p<0.05). The length of stay in emergency roo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moking history,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hospital arrival time, diagnosis, PCI perform and PCI perform when re-hospitalized (p<0.01).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Killip class, as the time from symptom onset to PCI increased by 1 unit, it resulted in 0.0005701 times higher rate of Killip class, these figur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dings (p<0.01). These findings indicate it is important to provide systemic education and promotions to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so that they can visit a hospital at the earliest possible tim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인문학 시각을 반영한 동서양의 웰에이징(Well-aging) 개념 비교 연구
- 노인체험복 착용을 통한 간호대학생의 노인이미지에 관한 연구
- 노인의 구강관리, 구강증상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