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축제에서 체험하는 재미란 무엇인가?: 질적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What Makes Festival Experiences Fun? :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발행기관
한국관광학회
저자명
최서영(Seo-Young Choi) 김민경(Min-Kyoung Kim) 이훈(Hoon Lee)
간행물 정보
『관광학연구』제49권 제5호, 121~14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축제 참가자의 재미에 대한 탐색적 접근을 통해 재미란 무엇인지 파악하고 유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감정의 흥분되고 차분한 정도인 각성(arousal)과 감정의 무게나 깊이를 반영하는 강도(intensity)를 분석적 틀로 적용하여 질적 내용분석(QCA)을 하였다. 분석은 축제 참가자 17인과의 심층 인터뷰 및 21개 축제의 온라인 리뷰를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며, Elo and Kyngäs (2008)가 제안한 귀납적 접근과 연역적 접근을 상호보완한 혼합적 접근의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20개의 하위주제와 4개의 차원이 도출되었다. 4가지 차원은 각각 ‘적극적 재미(active fun)’, ‘유희적 재미(playful fun)’, ‘몰두형 재미(immersive fun)’, ‘소극적 재미(passive fun)’로 명명하였다. ‘적극적 재미(active fun)’는 활기찬 상태를 통해 경험되며 신체적, 정신적 활력감을 수반하는 재미, ‘유희적 재미(playful fun)’는 축제의 다양한 놀이 요소를 통해 순수한 즐거움을 경험하고 사회적 지위나 나이와 관계없이 어린 아이처럼 함께 놀며 어우러지는 재미, ‘몰두형 재미(immersive fun)’는 축제가 형성하는 분위기 또는 축제 현장에서 활동에 깊이 빠져들고 감정의 깊은 울림을 경험하는 재미, ‘소극적 재미(passive fun)’는 신체적, 정신적 이완을 통해 재충전하고 여유롭고 평온한 상태를 경험하는 재미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이론적 의의는 축제 분야의 기존 재미 연구가 주로 단일차원적 접근에 머물렀던 한계를 극복하고, 재미의 네 가지 유형을 정의함으로써 축제에서의 재미 경험에 관한 다차원적 특성을 제안한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축제 관련 실무자가 각 유형의 재미를 극대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운영 방안을 설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akes an exploratory approach to understanding and typologizing fun in the festival experiences.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rousal, which reflects the degree of excitement and calmness of an emotion, and Intensity, which indicates the weight or depth of an emotion, as an analytical framework. The analysi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17 festival participants and 109 online reviews of 21 festivals, yielded 20 subthemes and four dimensions. The four dimensions were named 'active fun', 'playful fun', 'immersive fun', and 'passive fun', respectively. ‘active fun’ refers to a state of physical and mental vitality; ‘playful fun’ is fun experienced through diverse play elements of the festival and where participants play freely like children regardless of social status or age; ‘immersive fun’ arises from deep emotional involvement achieved through deep engagement with the festival's atmosphere and activities; and ‘passive fun’ is experienced as restorative enjoyment through physical and mental relaxation and the attainment of a peaceful state. By defining four types of fun, the study proposes a multidimensional characterization of the fun experience at festival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predominantly unidimensional approach of existing fun research in the festival field. Festival practitioners can design programs and operations to maximize each type of fun.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서영(Seo-Young Choi),김민경(Min-Kyoung Kim),이훈(Hoon Lee). (2025).축제에서 체험하는 재미란 무엇인가?: 질적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49 (5), 121-142

MLA

최서영(Seo-Young Choi),김민경(Min-Kyoung Kim),이훈(Hoon Lee). "축제에서 체험하는 재미란 무엇인가?: 질적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49.5(2025): 121-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