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Jeongyung-Moonshin (專經文臣) Policy during the Reign of King Soon-jo (純祖)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저자명
- 이연진(Yeon-Jin LEE)
- 간행물 정보
- 『태동고전연구』제54집, 241~26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순조(純祖) 대 현직 문신을 대상으로 오경(五經)의 이해능력을 평가한 전경문신(專經文臣) 제도의 운영상 특징과 의미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문의 주요 내용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우선 2장에서는 순조 재위기간을 크게 3시기로 나누어 시행양상을 살펴볼 것이다. 전경문신 제도의 운영 특징에 따라 순조 전기(즉위년~11년), 중기(12년~26 년), 후기(27년~34년)로 나누어 시행 추이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주요 자료로는 『순조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내각일력』 등의 관찬사료를 활용한다. 이를 토대로 전경문신 제도의 운영 주관자, 문신 대상자, 상벌 조치 등과 관련하여 실제 양상을 검토해 볼 것이다.
다음 3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운영상 실제를 바탕으로 그 특징과 의미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주요 특징으로는 왕의 참여 여부와 관련한 친림(親臨), 명관(命官) 활용 여부 또는 대림(代臨)의 시행, 대상자 명단 관리, 상벌 조치 등이 있다. 순조 대 확연히 나타나는 특징은 무엇일까. 정조 대와 비교해 보면 특히 불참자 및 성적 미달자에 대한 처벌 조치에서 차이를 보인다. 순조 대 전경문신 처벌 조치는 이후 『은대편고』에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포상대상자였던 성적 우등자들의 명단을 확보해 개별 특성을 파악해 보고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순조 대 전경문신 제도의 운영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정조 대 이후 세도(勢道) 정치의 시대적 인식 속에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조선 후기 현직관료 교육에 대한 일면을 살펴보고자 하는 시론이다. 실상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순조 대 전경문신 제도의 실제 운영 기록을 토대로 해당 제도의 운영상 주안점은 무엇이었으며 그것의 의미는 어떠하였는지 검토해 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Jeongyung-Moonshin (專經文臣)” policy during the reign of King Soon-jo (純祖).
This study is structured as follows. Chapter 2 examines the implementation patterns of the policy by dividing King Soon-jo’s reign into three major periods: the early period (Year 1-11), the middle period (Year 12-26), and the late period (Year 27-34). Through this periodization,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actual operation of the system. The primary sources utilized include chronological records such as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compiled by the Joseon government. Based on these sources, this chapter will investigate key aspects of the policy’s operation, including its administrators, participants, and the handling of evaluation results.
Chapter 3 builds upon the findings of Chapter 2 to explore the key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policy. This section examines the entire operational process highlighting its notable features. The discussion will focus on critical aspects such as king’s direct supervision of the examination (親臨), crown prince’s direct supervision of the examination (代臨), a chief examiner designated by the king’s order (命官), the management of participant lists, the rewards for high achievers, and the penalties imposed on absentees and underperformers.
목차
1. 머리말
2. 순조 대 전경문신 제도의 운영 실제
3. 순조 대 전경문신 제도 운영 특징과 그 의미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태동고전연구 제54집 목차
- 신라 불국신앙(佛國信仰)의 기록과 미술
- 무진(1748) 통신사행 역사 관련 필담과 그 의미 - 조선 지식의 습득과 자국 역사의 증명
- 장서각 소장 『어제인숙원빈행장(御製仁淑元嬪行狀)』 역주
- 근대 안동의 문화적 사유공간 - 유네스코의 보편성과 다양성의 관점에서
- 순조(純祖) 대 전경문신(專經文臣) 제도의 운영 양상 고찰
- 17세기 한 산림(山林)의 젊은 나날 - 『송동춘수필일록(宋同春手筆日錄)』을 중심으로
- 숙종대(肅宗代) 사직기곡제(社稷祈穀祭) 설행론(設行論)에 대한 사상적 고찰
- 신라불교의 수행 윤리로서의 효순 개념과 그 현대적 의의 - 원효의 『범망경보살계본사기』와 태현의 『범망경고적기』를 중심으로
- 충무공 이순신 갑옷에 대한 문제점 비판 - 소위 이봉상 갑주와 통영충무공영당봉안 영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조선후기 면주전의 금융 거래 - 『상방산대전책』의 실증 분석
- 최숙민의 『논어』 해석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在日中国女性形象的话语建构研究 - 以≪朝日新闻≫和≪读卖新闻≫为例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