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obots: Machinery or Labor Value? : An Exploration of Acquisition Tax as a Taxation System on Robots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서정섭(Jeoung Seoup Seo) 라소영(Soyoung Ra)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25권 제1호, 63~8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로봇에 대한 조세 부과, 이른바 ‘로봇세’에 대한 논의는 2017년 초 빌 게이츠의 발언을 계기로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 빌 게이츠는 4차 산업혁명의 진전에 따라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하게 될 것이며, 이에 따라 로봇에도 소득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현재 지능형 로봇은 제조업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한국은 로봇의 사용 및 생산에서 세계 4위의 국가이며, 제조업 부문에서 종업원당 로봇 밀도가 가장 높은 국가로 평가된다.
현재까지 로봇에 소득세를 직접 부과하는 방식의 로봇세를 도입한 국가는 없으나, 미국, 유럽,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는 로봇을 유형자산으로 간주하여 지방정부 차원에서 재산세 등의 세금을 부과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로봇에 대한 지방세 과세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한편, 산업용 및 서비스용 로봇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로봇이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고 일자리 감소를 초래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실업 증가를 통해 지방세수의 잠식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하에, 로봇에 대한 지방세 과세 필요성을 검토하고, 과세가 이루어진다면 어떠한 과세체계를 구축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로봇에 대한 취득세 부과 가능성을 중점적으로 논의하며, 현실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일부 로봇에 한정하여 취득세를 부과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이는 4차 산업혁명으로 변화하는 사회경제적 환경 속에서 새로운 세원을 확보하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debate over imposing a “robot tax” gained momentum following Bill Gates' remarks in early 2017. He asserted that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rogresses, robots would increasingly replace human jobs and should therefore be subject to taxation, similar to income tax. Currently, intelligent robots are being rapidly adopted not only in the manufacturing sector but also in various aspects of daily life. South Korea ranks fourth globally in both robot usage and production and has the highest robot density per employee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s of yet, no country has introduced a direct form of robot taxation based on income tax. However, some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European nations, and Japan, classify robots as tangible assets and impose local taxes, such as property tax, at the municipal or regional government level. In contrast, South Korea does not currently levy any local taxes, including property tax, on robots. Meanwhile, as industrial and service robots become more widespread, concerns are growing regarding their potential to replace human labor and reduce employment opportunities. This trend may, in turn, contribute to rising unemployment and a decline in local tax revenue.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amines the necessity of imposing local taxes on robots and explores potential taxation framework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feasibility of introducing an acquisition tax on robots. Although taxing robots presents significant practical challenges, even a partial application of an acquisition tax on certain types of robots could serve as a mechanism to capture new revenue sources in response to the evolving socioeconomic landscape brought about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목차
Ⅰ. 서론
Ⅱ. 로봇세 관련 이론적 검토와 선행연구
Ⅲ. 로봇에 대한 지방세 과세 필요성과 가능성 분석
Ⅳ. 로봇에 대한 취득세 과세 방안 모색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로봇, 기계장치인가 노동가치인가: 로봇에 대한 과세제도로써 취득세 부과의 탐색
- 프랑스의 다층적 거점전략과 국내 시사점에 관한 연구: 도시와 농촌지역의 산업거점과 생활거점을 중심으로
- 공동주택관리의 책무성 확보를 위한 역할책임에 대한 연구
- 규제심판제도의 정책적 의미와 탐색적 평가 : 「기계설비법」의 기계설비 유지관리제도를 중심으로
- 수도권 인구 집중화의 구조적 역학과 정책개입: 시스템 사고를 활용한 분석
-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저출산 대책의 정책효과 분석
- 조직수준의 공공봉사동기가 이직의도에미치는 영향: 조직공정성의 세 가지 하위차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안 발의자 특성이 국회 법안 가결에 영향을 미치는가?: 20대 및 21대 국회의원 발의 법안을 대상으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분석의 통합적 접근
- 주거환경과 직무성과인식의 관계에 관한 연구: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Volunteers
- 진성리더십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미치는 영향 연구: 조직시민행동 및 직무열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로봇, 기계장치인가 노동가치인가: 로봇에 대한 과세제도로써 취득세 부과의 탐색
- 프랑스의 다층적 거점전략과 국내 시사점에 관한 연구: 도시와 농촌지역의 산업거점과 생활거점을 중심으로
- 공동주택관리의 책무성 확보를 위한 역할책임에 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