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論文] 차상찬의 『작문일과(作文日課)』로 보는 대한제국기 작문 교육

이용수  0

영문명
Cha Sangchan’s Daily Writing, Writing Education in Daehan Empire Era
발행기관
근대서지학회
저자명
임상석(Sang-Seok Lim) 이태희(Tae-Hee Lee)
간행물 정보
『근대서지』제31호, 843~912쪽, 전체 70쪽
주제분류
복합학 > 문헌정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11,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06년 후반기에 필사된 차상찬의 『작문일과』는 수업의 과제인 총 21편의 작문이 수록되어 대한제국기의 중학교 작문 교육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교사가 문장으로 출제하고 답변을 작성하게 하며, 제출한 작문에 점수를 매기는 등 교수방식까지 알 수 있다. 한문 문장체가 대부분이고 다루는 주제가 “온고지신(溫故知新), 성(誠)” 등 사문(斯文)의 가치를 논하는 경우가 많아 한문 학습과 유사한 면모도 있지만, 당시에 작문과 한문은 구분된 교과였다. 『작문일과』에는 한문 단어체로 신채호와 장지연 등 당대의 계몽 논설을 연상시키는 근대 국가를 추구한 작문도 담겨 조선의 한문 학습과 달리 국문의 이념을 실천한 사례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작문일과』의 교사도 분과학문 교과서가 모두 한문인 상황에서 한문 과목과 다른 과학을 구분하라는 문제를 출제하고 근대 과학의 학습을 강조한 차상찬의 계몽적 작문에 최고점을 주었다. 서구에서 기원한 과학을 수용하기 위해서도 한문은 여전히 중요했다. 한편, 사범학교 입시에서 국한문체 작문을 실시하고 작문 수업에서 한문의 비중을 줄이기 위한 교재 최재학의 『실지응용작문법』이 출간되는 등 교육제도에서 국문의 비중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다각적으로 진행되었다.

영문 초록

Cha Sangchan’s manuscript, Daily Writing is the assignment of a middle school class, displaying writing education in Daehan Empire. In it, total 22 compositions are contained, including exam questions and evaluation grades for them. Its style is generally similar to Literary Sinitic sentences and Confucian lessons are proposed for issues of composition. However its writing class is respective curriculum from Classical Chinese and some of its composition represent enlightenment idea, aiming modern state and national language, similar to the articles of Sin Chaeho and Jang Jiyeon different from Classical Chinese writing in Joseon Dynasty. Also, the lecturer of Daily Writing presents a subject asking the difference between Classical Chinese class and other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economics and politics since all textbooks are written in literary Sinitic. The lecturer of Cha Sangchan seems recognizing transitional period in that he highly evaluates Cha’s composition insisting enlightenment ideas. Literary Sinitic is still demanded for understanding sciences rooted from Western World in Daehan Empire middle school. Meanwhile, Korean-Chinese writing becomes the subject for an entrance exam of normal school instead of Literary Sinitic writing in Joseon Dynasty civil service exam and Choi Jaehak publishes Textbook for Practical Korean-Chinese Writing to achieve the enhancement of Korean national language.

목차

1. 필사본 『작문일과』와 대한제국기 학교
2. 『작문일과』와 대한제국기 교육의 실상
3. 작문 교과와 당대의 입시
4. 작문 수업의 대안
5. 소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상석(Sang-Seok Lim),이태희(Tae-Hee Lee). (2025).[論文] 차상찬의 『작문일과(作文日課)』로 보는 대한제국기 작문 교육. 근대서지, (), 843-912

MLA

임상석(Sang-Seok Lim),이태희(Tae-Hee Lee). "[論文] 차상찬의 『작문일과(作文日課)』로 보는 대한제국기 작문 교육." 근대서지, (2025): 843-9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